극외측 디스크는 옆구리 디스크라고도 하며 척추 사이 완충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옆쪽으로 돌출되어 신경을 누르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흔히 알고 있는 허리 디스크는 넓은 신경관 내부로 디스크가 튀어 나와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나 옆구리 디스크는 신경이 빠져나가는 좁은 구멍으로 돌출되어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구로예스병원의 차기용 원장은 “허리 디스크와 증상이 비슷하고 일반적인 검사에서 발견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적기에 치료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증상이 심해지면 다리 마비나 운동장애, 배변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이 지속되고 일반적인 치료를 해도 호전이 없다면 극외측 디스크를 의심해보고 전문의에게 진료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 질환은 초기에는 종아리가 저리고 당기는 증상이 미미하게 나타나 다른 질환이나 단순 관절 질환으로 오인하기 쉽다. 하지만 치료를 받지 않으면 증상이 더 악화되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옆구리 디스크가 의심된다면 MRI 관측촬영으로 정확히 진단이 가능하다. 증상이 심하면 신경 손상으로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지만 초기에는 간단한 치료로도 쉽게 호전이 가능하다.
차기용 원장은 “초기에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지속해도 효과가 없을 경우 환자 상태에 따라 신경성형술 등의 시술을 진행하기도 한다”며, “극외측 디스크가 진행되면 허리와 근육이 약화되기 때문에 고른 영양 섭취와 적당한 운동을 동반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장시간 앉아 있거나 한 자세를 유지하는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허리 근육 강화를 위해 걷기나 수영 등의 운동을 하루 30분 이상 1주일에 2-3회 정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