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우산혁명' 존케리 미 국무장관 /자료사진=뉴스1

우산혁명이라 명명된 홍콩 민주화 시위의 여파가 크다. 양대 강국인 중국과 미국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1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양자 회동을 한 자리에서 홍콩 시위를 놓고 정반대의 견해를 밝혔다.


이날 회동에서 케리 장관과 왕 부장은 다음 달 초 베이징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양자 정상회담 준비논의를 위해 만나 홍콩 시위와 남중국해 문제 등을 놓고 이견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케리 장관은 회동에 앞서 "오늘 논의할 의제에는 의심할 여지 없이 홍콩 시위문제가 들어있다"며 "중국도 알다시피 우리는 기본법에 따른 홍콩시민의 보편적인 참정권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어 "최고로 가능한 자치와 법치에 의해 지배되는 개방된 사회가 홍콩의 안정과 번영에 필수적이라고 믿는다"며 "우리는 홍콩 당국이 강경 진압을 자제하고 시위대가 평화적으로 자신의 견해를 표출하는 권리를 존중해주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중국 외교수장 앞에서 공식적 입장을 전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왕이 부장은 "중국 정부는 이번 문제에 매우 강하고 분명하게 우리의 입장을 이야기해왔다"며 "홍콩 문제는 중국의 내부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모든 국가는 중국의 주권을 존중해야 한다"며 "이것은 국제관계를 운영하는 데서 가장 기본적 원칙"이라고 덧붙였다.

왕 부장은 "어떤 나라와 어떤 사회, 어떤 개인도 공중질서를 위반하는 불법행위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며 "그것은 미국도 마찬가지이고 홍콩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또 "우리는 홍콩 특별행정구 당국이 현 상황을 적절하게 다룰 능력이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