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카카오 공식블로그 화면
다음카카오가 회사 법무팀이 카톡 대화 내용을 선별해 기관에 넘겼다는 언론보도에 대해 해명했다. 10일 다음카카오는 공식블로그에 ‘다음카카오 법무팀은 카톡 대화 내용을 선별하지 않습니다’라는 해명 자료를 올렸다.
다음카카오는 “영장에 기재된 정보 중 서버에 남아있는 정보만 제공할 뿐, 절대 자의적으로 특정 대화만 선별해 제공하지 않는다”라며 “범죄와 관련된 사항을 개인이나 사기업이 판단할 수 없으며, 그렇게 해서도 안된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이어 “통상 수사 대상자의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고, 수사기관은 그 번호가 나눈 대화 내용과 그 외 수사에 필요하다고 판단된 정보를 다음카카오 법무팀에 요청한다”며 “법무팀은 영장에 기재된 정보 중 서버에 남아있는 정보를 있는 그대로 1차 수사기관인 경찰에 제공하고, 이후 경찰에서 수사와 관련된 정보를 검찰에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향후 적용될 프라이버시 모드에서는 종단간 암호화(End to End Encryption) 상태에서 오고가는 카카오톡 메시지는 회사도 암호를 풀 수 없다고 밝혔다.
다음카카오는 “암호키가 서버가 아닌 이용자의 스마트폰에만 저장되기 때문”이라며 “수사기관이 암호를 풀어 메시지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카카오톡의 서버가 아닌 이용자의 스마트폰까지 압수해야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서버 저장 기간을 2~3일로 줄여도 그 기간에 전체 대화 양이 적으면 5일 전의 대화가 남을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최근 서버 저장 시스템에 대한 개선으로 데이터 양이 아닌 기간(2~3일)으로 지워지는 시스템을 도입했다”며 “2~3일이 지나면 무조건 대화 내용이 지워진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