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올들어 두 번째 금연광고, <호흡의 고통>편을 선보였다. 이번에는 시각적 혐오와 더불어 가슴을 죄는듯한 가쁜 호흡까지 곁들여 광고의 강도가 전편에 비해 더 세졌다.
보건복지부는 뇌졸중을 소재로 흡연의 폐해를 적나라하게 묘사했던 상반기의 금연광고에 이어, 10월 24일부터 새로운 금연광고 <호흡의 고통>편을 방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주제는 폐암으로 폐의 기능이 상실되면서 호흡곤란, 질식으로 인해 사망하게 되는 폐암의 실체를 생생히 묘사하여, 고통받는 환자의 모습을 가감없이 다뤘던 전편의 기조를 이어간다.
폐암은 ‘흡연’에서 가장 쉽게 연상되는 질병이나, 너무 많이 알려져 오히려 흡연자들에게 경각심을 주기 어려운 질병이기도 하다.
복지부는 폐암 환자의 고통의 실체에 대해서는 생각만큼 많이 알려져 있지 않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흡연에 따른 폐암 발병 위험과 고통을 실감할 수 있도록 본 광고를 제작했다고 밝혔다.
폐암은 우리나라 암 발생률 2위이자 사망률 1위로, 암으로 사망한 사람 5명 중 1명이 폐암 환자이며, 5년 생존율은 16.7%로, 전체 암 환자의 평균 5년 생존율 57.1%에 비해 매우 낮다.
폐암의 90%가 흡연이 원인이며, 폐암으로 진단된 우리나라 남성의 87%가 흡연자이다. 폐암은 조기발견과 치료가 어려운 질병으로 예방으로 관리해야 하고, 폐암을 예방하는 최선책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이다.
한편 미국의 경우 1950년대 이후 담배가 대량생산되고 저타르, 저니코틴, 가향제 등 다양한 첨가물이 담배에 투입되면서 폐암선종이 증가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폐암 선종이란 폐암의 종류 중 하나로, 폐암 발병중 32%를 차지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