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6 대란 후폭풍'

‘아이폰6 대란 후폭풍’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이하 단통법) 시행 한 달 만에 ‘아이폰6 보조금 대란’이 일어나며 후폭풍이 거세다. 저렴한 가격에 팔려나간 ‘아이폰6’의 개통취소·판매한 기기 회수 등의 조치는 물론 판매 과정에서 활용된 페이백 방식과 관련해서도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아이폰6 대란’이란 지난 2일 새벽 이동통신사들이 기습적으로 불법 보조금을 풀면서 70만 원이 넘는 아이폰6를 한시적으로 10만~20만 원에 살 수 있게 됐던 것을 일컫는다. 이로 인해 앞서 아이폰6를 60만원 넘게 주고 구매한 소비자들은 순식간에 ‘호갱님’으로 전락하며 논란을 유발했다.

50만원에 가까운 보조금이 투입된 틈을 활용해 아이폰6를 구입한 소비자는 대략 1만 여명으로 추정된다.

이 소식을 접한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동통신3사 관계자들을 긴급 호출해 엄중 경고하는 한편, 현장에 시장조사관을 파견해 보조금 지급 방식과 규모 등을 파악하고 있다.

조사 결과 심각한 불법 사항이면 방통위는 이동통신사에게 벌금을 매길 수 있다. 단통법에선 불법 보조금 살포 행위에 대해 이동통신사 매출액의 3%까지 과징금을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방통위에서 강경대응을 펼치고 나서자 아이폰6를 판매한 업체들은 부랴부랴 고객들에게 개통 취소·판매기기 회수 등을 요구하며 상황을 수습하고 있다.

지난 3일 주요 IT 커뮤니티와 SNS상에는 “아이폰6를 예약구매했는데 판매점으로부터 개통 취소를 요구하는 전화가 걸려왔다”는 항의 글이 빗발치고 있다.

해당 업체들이 아이폰6 보조금 투입 과정에서 활용한 페이백 방식과 관련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짙어지고 있다.

페이백 방식이란 일단 할부원금을 정상적으로 책정한 뒤 소비자에게 현금으로 되돌려 주는 방식을 일컫는다.

이같은 방식을 활용해 '3개월 뒤 40만원 반환' '1개월 뒤 20만원 돌려줌' 등의 조건으로 아이폰6를 구매한 소비자들이 해당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을지 여부가 불투명하기 때문에 2차 피해 양산이 우려되는 상황.

‘아이폰6 대란 후폭풍’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아이폰6 대란 후폭풍, 단통법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 “아이폰6 대란 후폭풍, 아이폰6 60만원 넘게 주고 구매한 고객은 하루 만에 호갱됐네” “아이폰6 대란 후폭풍, 그냥 있는 휴대폰이나 고장내지 말고 쓰자”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