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위크 DB
지난 주말 발생한 아이폰6 보조금 대란과 관련, 이동통신 3사가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통 3사 모두 보조금 대란과 관련 일부 유통점 탓으로만 여기는 듯한 모습을 보여 “진정한 반성에 의문”이란 비판도 일부에서 나오고 있다.
이날 가장 먼저 사과문을 낸 KT는 5일 "단통법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사전 예약 가입자 위주로 영업을 하고 유통 채널에서 페이백 등 불법 영업을 하지 않도록 강력한 지침을 전달했다"며 "일부 유통점이 경쟁 대응 과정에서 시장 혼탁에 동조하게 된 점을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KT는 "방통위의 사실 조사에 적극 협력하는 한편 관련자 문책과 재발 방지 교육을 병행해 단통법 준수에 만전을 기하겠다. 또한 모든 고객에게 실질적 혜택이 고루 돌아가도록 차별화된 요금제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선을 노력을 다할 것이며 시장 구도를 서비스와 품질 경쟁으로 전환해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는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도 뒤이어 보도자료를 내고 보조금 대란과 관련 공식 사과했다.

SK텔레콤은 “단통법이후 법을 시장에 안착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지만, 지난 주말, 아이폰6 출시에 따른 사업자간 과열경쟁 등으로 인해 일부 판매점 등에서 발생한 편법영업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많은 이용자들께 불편과 혼란을 끼친 점에 대해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 재발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재발될 경우 엄정한 내부조사를 통해 사내 관련자는 물론 관련 유통망에 대해서도 엄정하게 책임을 묻겠다. 정부의 시장조사에도 적극 협력해 사태의 원인을 엄밀히 밝히겠다”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도 “단말기 유통법 시행 이후 고객들의 휴대폰 구입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멤버십 혜택도 대폭 강화하는 등 노력해 왔다”면서도 “일부 휴대폰 유통점에서 본사 뜻과 지침에 상반되게 시장을 혼탁케 하여 깊은 유감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또 “특히 단통법이 시행초기의 혼란을 벗어나 점차 정착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안정적 정착을 위해 앞장서야 하는 당사자로서 더욱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방통위의 사실조사에 적극 협력하고 조사결과 위법사항이 있을 시에는 관련자에 대해 엄중히 조치하겠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