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투데이
구직자 10명 중 8명은 면접 중간에 탈락을 직감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에 따르면 최근 구직자 829명을 대상으로 ‘면접 중 본인의 탈락을 직감한 경험’을 조사한 결과, 84.1%가 ‘있다’라고 답했다.


탈락이라고 생각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는 절반 이상(57%)이 ‘면접관의 발언, 태도’를 꼽았다. 이밖에 ‘실수 여부 등 내 면접 내용’(27.8%), ‘경쟁자의 면접 내용’(10.3%) 등이 있었다.

구직자들은 면접관의 발언 중에서 “곧 다시 연락 드릴게요”를 듣고 33.7%(복수응답)가 탈락을 직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해서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 있으면 하세요”(23.5%), “그 부분에 대해서는 잘 모르시나 봐요”(18.5%), “왜 우리회사에 들어오려고 하나요”(16.9%), “더 잘 맞는 일이 있을 것 같네요”(15.4%), “어필할 본인만의 장점이 더 없나요”(15.2%) 등을 꼽았다.


또, 태도 중에서는 ‘건성으로 질문, 경청하지 않는 등 성의 없어 보임’(35.2%, 복수응답), ‘형식적인 멘트만 계속함’(31.4%), ‘옆 경쟁자에게 관심과 질문이 집중됨’(29.1%), ‘이력서를 건성으로 검토하거나 메모 등을 안 함’(20.5%), ‘인상을 찌푸리는 등 얼굴표정이 좋지 않음’(18.4%) 등으로 탈락을 직감하고 있었다.

이렇게 탈락을 직감했을 때 면접 집중력이 흐트러지는 정도를 묻자 37.3%가 ‘제대로 실력발휘를 못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 ‘면접을 완전히 망치는 수준’도 14.5%였다.

실제로 69%가 탈락을 직감한 면접에 불합격했다고 밝혔다.

한편, 구직자의 59%는 면접에서 본인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너무 긴장해서’(32.1%), ‘스피치 능력이 부족해서’(24.3%), ‘실전 면접 경험이 부족해서’(12.5%), ‘기업마다 면접방식의 차이가 커서’(11.5%), ‘우수한 경쟁자에게 위축되어서’(9.2%) 등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