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순자산이 334억원이 넘는 '슈퍼리치'의 숫자가 147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19일(현지시간) 스위스의 자산정보업체인 웰스엑스(Wealth-X)와 UBS은행이 발표한 2014년 슈퍼리치 보고서(World Ultra Wealth Report 2014)에 따르면 한국의 슈퍼리치는 작년보다 80명(5.8%) 늘어난 1470명으로 집계됐다.
이 보고서에서 말하는 슈퍼리치는 순자산이 3000만달러(한화 약 약 334억원) 이상인 사람들이다. 이들이 보유한 재산은 총 2800억달러(약 312조3000억원)였다. 이는 지난해보다 5.7% 증가한 수치다.
성별로 보면 우리나라의 슈퍼리치 1470명 가운데 남성 89%, 여성 11%였다.
부를 축적한 방식으로 분류했을 때 20%는 상속형, 39%는 자수성가형이었으며 나머지 41%는 자수성가와 상속의 혼합형이었다. 또 전체의 17%는 재벌기업 출신으로 나타났다.
슈퍼리치 가운데서도 자산이 1조원이 넘는 '억만장자'는 21명이었다. 이는 지난해보다 2명 줄어든 수치다. 이들 중 20명은 서울에 거주하고 있고 33%는 재벌기업 출신이었다. 또 14%는 자수성가형, 29%는 상속형이었으며 여성 비율은 24%였다.
억만장자 21명 중 20명은 서울에 거주하고 있고 33%는 재벌기업 출신이었다. 또 14%는 자수성가형, 29%는 상속형이었으며 여성 비율은 24%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전 세계의 슈퍼리치 인구는 올해 21만2754명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6% 증가한 규모다. 또한 전 세계 인구의 0.004%다.
이들의 재산을 모두 합치면 30조달러(약 3경3345조원)으로 지난해보다 7%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2배 규모다.
또한 이들은 평균 2.2명의 자녀를 두고 있으며 손자는 1.9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보유는 평균 2.7채이며, 30% 이상은 국외에도 집을 최소한 1채 이상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슈퍼리치가 가장 많은 국가는 미국이었다. 대학별로는 하버드대가 3130명으로 가장 많은 슈퍼리치를 배출했고, 펜실베니아대(1580명), 스탠퍼드대(1240명), 컬럼비아대(940명)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