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사태와 이슬람국가(IS)의 출현에 저유가까지 더해지면서 새로운 국제사회 불안 요소로 떠올랐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저유가는 멕시코 디폴트와 소련의 붕괴를 가져왔던 30년 전 가격 하락과 같은 파급효과를 야기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많은 산유국은 원유 수출에서 얻는 수입이 예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저유가로 인한 타격이 심각하다. 재정이 빈약한 베네수엘라, 이라크, 이란, 나이지리아 등은 속속 내년 예산을 줄이고 있다.
이라크는 원유 수출가격을 배럴당 70달러로 예상하고 내년 예산안을 짰다. 하지만 지난달 28일 64달러로 떨어지자 예산안 변경에 나섰다. 나이지리아는 지난달 처음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한 데 이어 최근 자국 화폐 가치까지 내렸다 내년 예산도 6% 삭감할 방침이다. 이란도 줄어든 수입으로 인해 긴축 재정은 물론 그동안 지급해 오던 석유값 보조금 삭감을 검토 중이다.
특히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 적자 비율이 16%에 달하는 베네수엘라는 저유가 영향을 정통으로 맞았다. 올해 초부터 인플레이션 심화 등에 항의하는 시위가 끊이지 않아 예산 축소에 따른 지출 삭감은 끓는 물에 기름을 붓는 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들 국가의 고통은 미국 셰일가스 붐이 이 정도로 광범위하게 예상하지 못한 데 있다는 지적이다. 100달러 유가에 안주해 일부 산유국들은 석유 중심의 경제와 산업구조에서 탈피하는 데 실패했다. 통신은 “이 같은 ‘퍼주기’가 위험에 처했다”며 “일부 국가가 아이들이 길거리로 나가지 않도록 주던 정부 보조금을 중단하면 이들은 다시 거리로 나갈 것이고 정치적 혼란과 격변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