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1970>은 유하 감독의 10년에 걸친 ‘거리 시리즈’의 완결편이다. <말죽거리 잔혹사>에서 제도교육의 폭력성에 유린되는 청춘들을 그린 지 10년, <비열한 거리>로 돈이 폭력을 어떻게 소비하는 지를 보여준 지 8년 만이다.
<강남 1970>은 강남 개발이 시작되던 1970년대를 조명한다. 고아 출신의 두 젊음, 종대와 용기는 강남땅을 둘러싼 이권다툼의 최전선에서 정치권력의 행동대원이 돼 목숨을 걸고 싸운다. 그렇게 <강남 1970>은 가진 것 없는 청춘이 폭력과 만나는 과정을 그렸다. 앞선 두 '거리 시리즈'보다 주제 의식을 가장 큰 스케일로 보여준다.
유 감독은 이미 <말죽거리 잔혹사>의 권상우와 <비열한 거리>의 조인성 등 젊은 남자 스타들을 배우로 재탄생시킨 바 있다. 이번 <강남 1970>에서도 이민호와 김래원을 땅과 돈을 향한 욕망으로 질주하는 거친 남자들로 탈바꿈시켰다.
특히 유 감독은 드라마 속 재벌 상속자로 익숙한 이민호를 가진 건 싸움실력밖에 없는 밑바닥 청춘 김종대로 파격 캐스팅했다. 매서운 눈빛으로 분노하고 거침없이 행동하는 <강남 1970>의 이민호에게서 더 이상 사랑 앞에 눈물 짓던 모습은 떠올릴 수 없다.
김래원 또한 뒤를 돌아보지 않는 행동력과 치열한 조직 세계에서 성공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냉혈아로 변신시켰다. 그러면서도 세상이 멸시하는 넝마주이에서 조직의 2인자가 되기까지 늘 긴장하고 불안해하는 감정연기를 엿볼 수 있다.
시놉시스
호적도 제대로 없는 고아로, 넝마주이 생활을 하며 친형제처럼 살던 종대(이민호)와 용기(김래원). 유일한 안식처였던 무허가촌의 작은 판잣집마저 빼앗긴 두 사람은 건달들이 개입된 전당대회 훼방 작전에 얽히게 되고 그 곳에서 서로를 잃어버린다. 3년 후 자신을 가족으로 받아 준 조직 두목 출신 길수(정진영)의 바람과 달리 잘 살고 싶다는 꿈 하나로 건달 생활을 하게 되는 종대. 정보와 권력의 수뇌부에 닿아있는 복부인 민마담(김지수)과 함께 강남 개발의 이권다툼에 뛰어든 종대는 명동파의 중간보스가 된 용기와 재회하고, 두 사람은 정치권까지 개입된 의리와 음모·배신의 전쟁터, 그 한 가운데에 놓이게 되는데….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63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