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병 농협중앙회 회장이 23일 서울 서대문구 농협중앙회에서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국토교통부가 농협의 택배사업 진출에 반대 의견을 농림축산식품부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농협이 택배사업에 뛰어드는 것이 사회적 편익 증가 효과가 없다는 설명이다.
이는 농림부가 지난해부터 농협의 택배시장 진출을 지원키로 한 것과 상충돼 농림부의 답변에 관심이 쏠린다.
21일 뉴스1 단독보도에 따르면 국토부는 농협의 택배시장 진출에 대해 반대 의견을 공개 또는 비공개 방식으로 여러차례 농림부에 전달했다. 국토부는 현재 택배업업계가 마진의 한계까지 다다른 상태인데 농협이 진출하게 되면 택배시장의 공멸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국토부 고위 관계자는 "현재 2400원인데 농협이 진출해 당장은 100~200원 낮아질 수 있다"면서도 "치킨게임화로 택배에 종사하는 인원이 이탈하게 되면 종국에 인건비를 보조하기 위해 단가가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택배차량 등을 관리하고 허가를 내주고 있지만 농협의 경우 기존 택배 회사를 인수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제재할 수단이 없는 상황이다.
국토부는 농협이 주장하는 휴일 택배 배송과 농산물 유통에 대해 전체 택배물량에 차지하는 비중도 적을 뿐만 아니라 기존 택배업계가 협약을 통해 농산물을 유통할 수 있기 때문에 농협이 택배사업에 뛰어들 명분이 되지 못한다는 입장이다. 택배업계에 분석에 따르면 토요일 물량은 택배시장 전체 물량 중 0.0006%에 불과하다.
국토부의 의견 전달에 대해 농림부는 아직까지 답변이 없는 상태다. 국토부는 농협이 택배업계 진출을 공식화 할 경우 보다 강력한 의견을 피력할 방침이다.
한편 CJ대한통운, 한진택배 등 택배회사 대표 및 관계자 20여 명은 농협의 택배사업 진출을 반대한다는 지난 20일 성명을 발표했다. 또 앞서 지난달 1일부터 225대 택배차량은 '농협 택배사업 진출 반대'라는 내용의 현수막을 붙이고 서울 주요 지역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