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 위주의 환영회에서 색다르고 독특한 프로그램을 갖춘 환영회로 점차 바뀌고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음주를 통해 선후배, 동기간 친밀감을 도모하려는 분위기가 자리하고 있다.
이렇게 연말 못지 않게 술자리가 잦은 이맘 때 과도한 음주는 자칫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건강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과음 후 구토는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 중 하나로 과식이나 과음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술을 많이 마시게 되면 속이 불편하거나 알코올을 빼내고 싶은 마음에 구토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술을 마신 후 구토를 하게 되면 식도가 위산에 그대로 노출되어 자극을 받게 된다. 이떄 음주 후 습관적, 반복적으로 구토를 할 경우 위와 식도 사이의 근육이 느슨해져 신물과 쓴물 등이 더욱 빈번히 역류하여 식도염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늦은 밤까지 술과 안주를 섭취하기 때문에 위산 분비가 더욱 늘어나 식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식도는 위에 비해 위산 방어 능력이 약하므로 손상은 물론 출혈도 생길 수 있다. 구토로 인한 식도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과음은 물론 과식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역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신물이 넘어오거나 가슴이 답답해 지고 소화불량, 목 내부에 이물감이 느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런 증상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내시경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역류성 식도염이 지속되면 식도 점막이 위 상피세포로 변하는 바렛식도로 진행되며 이로 인해 식도암의 위험성도 높이게 된다.
따라서 내시경검사 후 위산억제약물로 증상을 호전시킨 후 재발방지를 위해 식생활 습관을 통해 예방을 해야 한다.
참튼튼병원 구로지점 박찬익원장은 “음주는 역류를 막는 식도하부의 괄약근의 기능을 떨어뜨려 역류성 식도염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 된다” 며 “ 이외에도 야식, 탄산음료 등도 원인을 제공하는 만큼 취침 전에는 음식을 먹지 않는 올바른 식습관과 술을 자제하는 평소의 생활습관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