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DB
포스코건설 비리와 관련해 검찰의 수사강도가 높다. 포스코그룹의 다른 계열사는 물론 협력업체까지 수사범위를 대폭 확대했다.
이러한 고강도 수사는 이완구 총리가 대국민 담화에서 부정부패와의 전쟁을 선포한 직후 이뤄졌다는 점에서 이미 예견됐다. 또 지난달 검찰 정기인사로 진용을 새로 꾸린 서울중앙지검 특수부의 첫 기업수사이기도 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검찰의 수사 칼 끝이 포스코그룹 본진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정준양 포스코 전 회장 당시에 대한 수사가 진행되며 MB정권의 부패를 파헤치기 위함이라는 것이 업계에서는 공공연하게 여겨지고 있다.
앞서 1990년 민영화된 포스코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한차례씩 파동을 겪었다. 고 박태준 명예회장은 1992년 당시 김영삼 대통령 후보와 갈등 끝에 물러난 뒤, 정부 출범과 함께 수뢰 및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됐다.
1994년 회장에 올랐던 김만제 전 회장 역시 DJ정부가 출범하자 자진 사임했고 유상부 전 회장은 배임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노무현 참여정부 시절 회장 자리에 올랐던 이구택 전 회장 역시, 이명박정부가 들어서고 세무조사 무마 청탁설이 불거지면서 중도 하차했다.
다만 검찰이 MB정권 수뇌부만을 노리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있다. 재계 전반을 길들이기 위함이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검찰은 지난 16일 새만금 방수제 건설공사 입찰 과정에서 담합을 주도한 SK건설을 대상으로 고발요청권을 행사하기로 했다. 공정위가 과징금을 부과하고 시정조치를 내렸음에도 고발요청권을 행사한 것은 이례적이다.
또한 신세계 그룹 총수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하기 위한 계좌 추적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