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농성 간농양 원인'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화농성 간농양 원인'
화농성 간농양 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강동경희대병원 신현필 소화기내과 교수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9년 4844명이었던 화농성간농양 환자는 2013년 6485명으로 34% 늘었다.
간에 세균이나 아메바 같은 기생충이 들어가면 고름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간농양이라고 부른다. 간농양은 크게 화농성 간농양과 기생충성 간농양, 두 가지로 구분된다. 국내의 경우 위생 상태가 좋아지면서 아메바성 농양은 거의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당뇨병 관리를 소홀히 해 면역기능이 떨어져 있거나 담즙이 흐르는 담도를 종양이나 담석 등이 막고 있는 경우 등 세균에 의해 간에 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데, 감염이 발생한 자리에 고름이 생긴 것이 화농성 간농양이다.
화농성 간농양은 60세 전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중 절반 이상의 환자가 당뇨병이나 담도계의 질환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간에 고름이 생기면 발열과 오한, 피로 등 몸살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진행되면 손으로 배를 눌러봤을 때 통증이 온다.
농양의 크기가 작다면 항생제만으로도 치료할 수 있지만 대다수의 경우 피부를 통해 튜브를 넣어 농양을 빼내면서 항생제를 사용해 치료한다. 치료가 늦어지면 늑막에 염증이 생기거나 폐렴 등 합병증이 생길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