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A씨는 허리와 발목 등의 통증이 많았지만 그래도 일상생활을 하는데는 불편함이 없어 그냥 생활을 해오곤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통증의 강도가 강해지더니 일상생활을 하는데까지 불편함이 있어 병원을 찾게 되었다.

통증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바쁜 일상생활 속에서 잊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작은 통증은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로 신체에 이상이 있는 부분을 신속히 알리고 경고해 통증의 원인을 찾고 치료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통증은 급성통증과 만성통증으로 나뉘는데 일반인들이 느끼는 대부분의 통증은 만성통증일 가능성이 높다. 만성통증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으로 방어적인 역할을 다 한뒤에도 계속 남아 통증자체가 하나의 질병이 된 경우다. 급성통증은 신체 이상을 빠르게 알리는 방법 중 하나로 피부에 상처가 생기거나 배탈이 생겨 배가 아프거나 하는 경우를 급성통증으로 볼 수가 있다.

신경외과전문의 이길용 원장은 “통증의 경우 통증 부위가 같더라도 질환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통증도 방치하면 다른곳까지 통증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통증으로 근육이 긴장되고 예민해지면 스트레스가 화학물질인 노브에피네프린의 분비를 증가키셔 심신을 지치게 만들고 우울 상태가 되어 통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고 만성통증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즉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거나, 혈액순환 이상, 정서적 불안 및 우울증 증세 그리고 신경 손상이나 압박으로 인한 부종 및 염증과 근육의 과도한 긴장과 자율신경의 불균형이 면역기능과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엉망으로 만들 수 있는 것.

이와 관련해 이 원장은 “통증이 발생하면 그 원인을 제거할 경우 곧 사라질 단순통증인지 아니면 통증방치로 인한 만성통증인지, 전혀 다른 원인으로 발생한 통증인지 전문의에게 정밀 진단을 받고 그에 따른 빠른 조치를 통해 통증을 없애고 질환이 발생하는 요소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