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글박물관은 오는 14일부터 9월 4일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4시에 <소설을 만드는 사람들> 명사 강연을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강연은 기획특별전 ‘쓰고, 고쳐 쓰고, 다시 쓰다.’(부제: 소설 속 한글) 전시의 연계 행사로, 전시에 참가한 소설가, 번역가, 교열가의 강연을 듣고 직접 대화할 수 있는 자유로운 분위기로 진행될 예정이다.


14일 첫 강연에서는, '황금깃털', '먼 그대'의 소설가 서영은 작가가 ‘육필과 원고지에 글쓰기’를 주제로 시작한다. 서작가는 실제 집필과정에서 원고지에 글을 쓰고 수정을 반복하며 탈고하기까지 겪는 인내와 창작의 고통, 기술의 발달에 따른 집필 과정의 변화와 편리한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어 8월 21일에는 '번역하는 문장들'의 저자 문학평론가 조재룡, 8월 28일에는 '금지된 정원'의 저자 소설가 김다은, 9월 4일에는 '건방진 우리말 달인'의 저자 엄민용 기자의 강연이 예정되어 있다.

국립한글박물관 누리집(www.hangeul.go.kr)을 통해 신청이 가능(선착순 20명)하며, 참석자에게는 소정의 기념품을 제공된다.




□‘소설을 만드는 사람들’ 강연 일정


일시
강연자
주제
8.14.(금) 16:00~
소설가 서영은
육필 그리고 원고지에 글쓰기
8.21.(금) 16:00~
번역가 조재룡
번역과 모국어
8.28.(금) 16:00~
소설가 김다은
한글의 정원
9.04.(금) 16:00~
교열가 엄민용
열에 아홉은 틀리는 우리말



붙임1. <소설을 만드는 사람들> 강연자 약력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한글박물관
연구교육과 강지예(☎ 02-2124-6446)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1. <소설을 만드는 사람들> 강연자 약력

강연자
약 력
서영은
ㅇ강릉 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건국대 영문과에서 수학.
ㅇ1968년 『사상계』 신인작품 모집에 단편 「교(橋)」가 입선되고, 이듬해 『월간문학』 신인작품 모집에 단편 「나와 ‘나’」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한국문학사에서 기자로 근무. 『문학사상』의 편집장을 역임.
ㅇ주요 작품집으로는 『사막을 건너는 법』(1975), 『살과 뼈의 축제』(1977), 『술래야 술래야』(1980), 『황금깃털』(1984), 『그녀의 여자』(2000) 등이 있으며, 단편 「먼 그대」로 제7회 이상문학상 수상.
조재룡
ㅇ성균관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졸업, 2002년 프랑스 파리8대학에서 〈산문시의 이론적 관건〉으로 박사학위 취득. 현재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ㅇ2003년 《비평》에 문학평론을 발표하면서 평론 활동을 시작했으며, 시학과 번역학, 프랑스와 한국 문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평론을 집필
ㅇ저서로 《베네치아의 기억》(공저), 《앙리 메쇼닉과 현대비평: 시학ㆍ번역ㆍ주체》, 《번역의 유령들》, 《시는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 《번역하는 문장들》이 있고, 역서로는 앙리 메쇼닉의 《시학을 위하여 1》, 제라르 데송의 《시학 입문》, 루시 부라사의 《앙리 메쇼닉, 리듬의 시학을 위하여》등이 있으며, 2015년 시와 사상 문학상 수상
김다은
ㅇ이화여대 불어교육과 및 불어불문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8대학에서 불문학박사학위 취득.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
ㅇ‘1996년도 제3회 1억원 국민문학상’에 장편소설 󰡔당신을 닮은 나라󰡕가 당선되어 소설가로 등단.
ㅇ장편소설 󰡔금지된 정원 󰡕 󰡔모반의 연애편지󰡕 󰡔훈민정음의 비밀 󰡕 󰡔이상한 연애편지󰡕 󰡔러브버그󰡕, 창작집 󰡔위험한 상상󰡕 󰡔쥐식인 블루스󰡕, 서간집 󰡔작가들의 연애편지󰡕 󰡔작가들의 우정편지󰡕 󰡔작가들의 여행편지󰡕 󰡔작가들의 자연편지󰡕를 엮음.
ㅇ프랑스어 소설 「Imagination dangereuse」 「Madame」을 발표, 번역서 󰡔다른 곶󰡕 󰡔에쁘롱󰡕 󰡔모데르니테 모데르니테󰡕 가 있음.
엄민용
ㅇ현 경향신문사 엔터비즈부장
ㅇ한국언론진흥재단, 한겨레문화센터, KT&G 상상마당 등 출강(바른 글쓰기, 교열의 이론과 실제)
ㅇ전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말과글> 편집장, 부회장 / 전 국립국어원 순화분과위원회 위원
ㅇ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오류, 중학교 교과서 오류, 국립중앙박물관 패널 설명문 오류 지적 등 공을 인정받아 한국어문상 대상(문화관광체육부장관상) 수상(2회)
ㅇ《건방진 우리말 달인》, 《더 건방진 우리말 달인》, 《나도 건방진 우리말 달인》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