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원 메리츠종금증권 투자전략팀장. /사진=메리츠종금증권 제공
‘ECB is ready to do whatever it takes to preserve the euro. Believe me. It will be enough.’
지난 2012년 7월 유럽중앙은행(ECB) 금융정책결정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가 한 말이다. 드라기 총재는 유로존 체제 사수를 위해 무엇이든 다할 것이라며 자신을 믿으라고 강조했다. 그의 말대로 ECB는 무제한 국채매입(OMT) 등 유로존 사수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구축해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결국 금융위기 이후 미연방준비제도(Fed)를 시작으로 ECB와 일본은행(BOJ) 등 각국 중앙은행은 자국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모든 필요한 조치를 다하는 ‘와레버’(whatever) 시대를 열었다. 이제 공은 중국 인민은행 지도부로 넘어갔다.


지난 6월 이후 상하이증시가 단기간 27.2% 조정을 기록한 이후 당국의 강도 높은 증시 안정화 정책으로 반등했지만 거래정지 기업들의 거래가 재개되면서 다시 하락하는 등 중국 금융시장에 대한 우려가 고조됐다. 하지만 오는 2020년까지 정권을 책임지는 시진핑 지도부는 정책 핵심목표인 ‘일대일로’ 등 중화권 확대와 포용적 성장정책 달성을 위해 주식시장의 부양이 필수적이다.

그렇다면 실제 중국 주식시장의 주인은 누구인가. 현재 상하이A주 상장회사 중 국자위, 지방정부, 국유기업의 통제 하에 있는 기업은 총 1010개로 이는 전체 A주 상장사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결국 중국증시 부양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자산을 부양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중국은 4조위안 규모의 막대한 경기부양책을 시행해 지방정부 부채의 확대를 야기했다. 시진핑 지도부는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지방정부 채무 2조1800억위안의 채무상환을 위해 올해 3월, 6월과 7월 총 3조위안의 지방채 발행을 허용했다.


이보다 근본적인 지방정부 부채해결 방안 중 하나는 국유기업의 기업공개(IPO)와 상장기업의 지분매각이다. 지방정부가 소유한 기업의 IPO와 지분매각은 지방정부의 재정을 건전화할 수 있다.

지난 2008년 이후 중국 성장률에서 투자 기여비중은 55.9%로 절대적이다. 하지만 투자를 확대해야 할 지방정부는 부채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시진핑이 추진하는 ‘일대일로’와 포용적 성장정책을 달성하기 위해서도 지방정부 중심으로 인프라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IPO 및 지분매각 등으로 지방정부 재정을 건전화하기 위해 중국 정부가 증시 부양에 적극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아직까지 중국증시의 대외 개방은 절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또한 주요국 대비 금리 수준과 지준율이 높아 통화완화 정책 카드는 충분하다. 중국증시의 시가총액이 GDP의 절반도 안되는 수준으로 저평가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8월 상하이증시는 일시적 변동성 확대 이후 중장기적 상승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97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