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거위발건염은 무릎을 굽혀 허벅지 뒷근육을 자주 사용하는 육상 선수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무릎을 펴고 굽히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장시간 보행을 하는 등 무릎관절을 과하게 사용할 경우 발병할 수 있다.
또한 나이가 들수록 근력이 약해지고 무릎 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노인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 질환인데, 퇴행성 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이 있거나 당뇨와 비만이 있는 노인이라면 특히 더 주의가 필요하다.
거위발건염 통증으로 걷기나 조깅이 힘들어지는 경우 충분한 휴식이 가장 좋고 냉찜질을 하는 것도 도움 된다. 상태가 나아지지 않을 때에는 약물치료나 주사치료, 운동요법을 동반해 치료하기도 하는데 수술까지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지만 심각한 경우 점액낭을 제거하는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
거위발건염은 자세와 생활습관에 의해서도 발병하는 질환이므로 운동 전 충분한 근육 스트레칭을 해주고 본인에게 맞는 운동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같은 운동을 습관적으로 반복하기보다는 무릎관절에 무리가 덜 가고 체중부하가 적은 실내 자전거 타기나 수중 걷기 등의 운동을 하고 무릎 보호대를 착용해 관절 손상을 예방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라원장은 “무릎은 체중을 지탱하면서 충격을 흡수해주기 때문에 부상에 가장 취약한 관절로 평상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통증이 지속되면 섣부른 자가 진단으로 무릎 부상의 상태를 악화시키지 말고 발병 원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