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재신임 투표. 사진=임한별 기자
'문재인 재신임 투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재신임 투표가 예정대로 강행될 예정이다. 문 대표를 중심으로 한 당내 친노(친노무현)·주류와 안철수 전 공동대표 등 비노(비노무현)·비주류는 '재신임 정국'이 조성된 이후 당내 세력간 극심한 분열양상을 보인다.

당내 중진들은 11일 긴급 회동을 하고 '중앙위 소집과 재신임투표 등 당내 문제는 국정감사 이후 본격 논의하자'는 중재안을 제시하며 가열된 양측의 분위기를 가라앉히는 데 주력했다.


중진들은 '재보선 정국'을 주도하고 있는 문 대표와 11일 심야회동을 하고 중재를 시도했으나 문 대표가 재신임투표는 추석 전까지 연기가 가능하되 중앙위 소집은 연기가 불가능하다는 뜻을 꺾지 않으면서 합의점을 도출하는 데는 실패했다.

정치권에선 당내 세력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물리고 있는 만큼 이번 ‘재신임 정국’이 해소되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특히 이르면 내주 중, 늦어도 내주 주말께 가시화될 신당론과 겹치면서 양측간 갈등의 수위는 최고조로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미 양측간 갈등의 골이 이미 깊어질 대로 깊어진 데다 오는 16일 혁신안 처리를 두고 한 치의 물러섬 없는 일전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설만 무성하던 분당이 현실화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마저 나온다.


문 대표는 지난 9일 혁신안 중앙위 통과와 연계한 재신임 카드를 꺼낸 데 이어 11일엔 재신임투표를 13~15일 사흘간 전(全)당원투표와 국민여론조사를 각각 시행해 하나라도 불신임을 당하면 대표직에서 사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표의 이런 행보에 대해 정치권에선 최근 안 전 대표를 필두로 한 비주류가 혁신안에 대해 강도 높게 반발하고 자신의 거취를 압박하는 상황에서 '재신임' 카드로 정면 돌파를 시도한 것으로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