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머니투데이 DB
중국의 ‘18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5중전회)가 오는 26~29일 열린다. 5중전회란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선발된 중앙위원들이 5년 임기 동안 7번 개최하는 전체회의 중 5번째 회의를 뜻한다.
이번 5중전회에서는 ‘13차 5개년 규획’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기 때문에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중국 인민경제 발전에 대한 중장기적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지는 않지만 중국 거시경제의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 인구계획·에너지시스템 개혁 주목
전문가들은 이번 5중전회에서 제시될 주요 내용으로 ▲성장 목표치 안정 및 재정정책 ▲국유기업개혁 및 서비스업 육성 ▲일대일로 등 지역균형발전 ▲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민생·빈곤탈출 등을 예상했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단기 정책집행의 가시성이 높고 구조적인 성장성과 정책지원이 병행되는 산업, 인구정책 변동 수혜 산업이 최우선 관심”이라며 “구체적으로 신규 인프라투자 영역, 전면적 2자녀 정책과 실버산업, 신흥 육성 서비스업”이라고 말했다.
그가 말한 신규 인프라투자 영역은 환경·신에너지·물류서비스 등이다. 인구관련 정책은 의료기기·병원·미디어·필수소비재 업종을, 신흥 육성 서비스업은 온라인·헬스케어·교육·체육 등을 말한다.
특히 주식시장 참여자 입장에서 주목해야 할 변화는 산아제한 정책 폐지와 에너지시스템 개혁이라는 분석이다. 중국 기관의 추정에 따르면 향후 4년동안 8900만명의 신규 출생인구가 6642억 위안의 경제적 가치를 가진다. 또한 에너지시스템 개혁에 돌입하면 인프라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석중 신한금융투자 이코노미스트는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1가구 2자녀 허용 정책은 시범식에서 전국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주목해야 한다”며 “또한 에너지시스템 개혁은 태양광 및 원자력 관련 인프라 투자를 늘려 관련 산업 장비의 수주가 가까운 시일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 레저·미디어·IT·전기차 업종 ‘수혜’
5중전회에서 다뤄질 또다른 이슈로는 ‘제조업 2025플랜’을 들 수 있다. 중국의 제조업이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에서 전통적인 제조업 구조를 고부가가치 제조업으로 변화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전통산업과 인터넷을 결합해 효율과 경쟁력을 높이자며 ‘인터넷플러스’ 정책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과 자본시장 뿐 아니라 정부가 독점하고 있는 금융·의료·통신·국방·교육 서비스업의 민간 개방도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증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정책으로는 증권법 개정 및 내년 기업공개(IPO) 등록제 도입 여부, 위안화 관련 정책 등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박석중 애널리스트는 “정책 수혜가 예상되는 IT·전기차·첨단기계, 노령화 및 사회 안전망 확충에 따른 제약·의료기기, 소득 수준 향상에 따라 무형자산 소비 업종인 레저·미디어 업종이 정책 기대감과 이익 개선이 동반되고 있으므로 주도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