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본사 사옥. /사진=머니위크 DB

대우조선해양이 다음달 말부터 회사채 만기도래로 정상경영이 어려울 전망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와 각종 인건비, 자재비용 등을 고려할 때 채권단의 적극적인 지원이 없으면 당장 정상적인 경영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 7월 산업은행이 국회 정무위 소속 의원들에게 보고한 내용에 따르면 연내 만기인 대우조선 채무 규모는 1조2천억원 수준이다. 대우조선은 이 가운데 지난 7월23일 만기가 도래한 2000억원의 회사채를 자체 보유한 유동성으로 상환했다.


그러나 11월 말 3000억원의 회사채를 추가로 갚아야 하는데 자체 보유한 유동성으로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이후에도 갚아야 할 채무 만기가 속속 도래한다.

대우조선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실사 결과 부실 규모가 애초 예상했던 것보다 큰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올해에만 5조3000억 원가량의 적자를 내 올해 말 부채비율이 4000%를 웃돌 것이라는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대우조선의 입장에서는 조속한 지원대책이 절실한 상황이지만 채권단과 노조의 줄다리기로 추가자금 지원은 가로막힌 상태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유상증자와 직접대출, 출자전환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한 지원 방안을 준비하고 있지만 대우조선 노조의 적극적인 고통분담 의지가 없으면 지원할 수 없다는 방침이다.

대우조선 지원안이 전면 보류된 지난 22일 청와대 서별관회의(경제금융대책회의)에서 정부와 채권단은 대우조선의 강도 높은 자구계획 마련과 노조의 쟁의행위 자제‧임금 동결 등의 서약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