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 작업을 추진하는 TF를 운영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는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 교육부가 해명에 나섰다.
교육부는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9월말부터 TF를 구성해 체계적으로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준비해왔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며, 해당 근무인력은 '역사교육지원팀' 업무 증가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부내 다른 부서로부터 지원받은 인력으로 보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언론에 공개된 'TF 구성·운영 계획'은 교과서 발행 체제 개선에 관한 행정예고 이후 늘어나는 업무량에 대비하고, 폭주하는 국회 자료 요구 등에 대응하기 위해 업무 지원을 나온 직원들의 업무와 역할분담을 정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라며 "따라서 TF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역사교육지원팀 업무 지원'이며 직원들은 근무지원 형태로 근무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또 "역사교육지원팀 업무 지원은 10월 5일부터 순차적으로 실시됐다"며 "10월5일부터 8명의 인원을 보강해 10월8일 확인 국감에 대비해 국회의 자료요구, 답변준비, 언론대응 등을 담당하도록 했고, 10월12일 행정예고 이후 7명이 추가로 근무지원을 실시했으며, 이들은 행정예고 이후 언론 보도 증가, 국회 자료 제출 증가, 올바른 역사교과서 홍보 등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이들의) 주요 업무는 역사교육지원팀 종전 업무인 역사교과서 발행체제 개선 기본계획 수립 및 교과서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며, 국회, 언론 등 설명자료 관리·제공, 올바른 교과서 홍보계획 수립 및 홍보 추진 등이라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