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수능 때 마다 고3 수험생을 둔 학부모들은 성당이나 절을 찾아 100일 기도, 108배를 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장시간 무릎을 꿇고 몇 시간씩 기도를 하거나, 반복적으로 무릎을 굽혔다 폈다 절을 하는 자세는 무릎 관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중년 여성은 노화로 인해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는 단계. 무릎 주변 근육이 가늘어지고 힘이 약해기지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부상을 입을 위험이 높다. 이미 무릎 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람이라면 상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는데 이런 상태에서 무릎을 쪼그리고 앉았다 일어섰다를 반복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무릎 연골 퇴행이 더 빨라질 수 있는 것.
무릎 관절은 한번 망가지면 완전한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지속적인 통증이 느껴진다면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해야 한다. 관절 치료는 진행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방법으로 시행되는데 관절염 초기에는 약물이나 운동 등 비수술적 방법으로 충분한 호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증상이 심각한 경우엔 인공관절 치환술 등 수술적 방법이 필요하다.
조기 치료도 중요하지만 평소 무릎 관절 운동을 통해 다리 근육을 단련시켜야 한다. 운동을 꾸준히 하면 관절을 보호하는 근육과 인대 힘이 강화돼 움직일 때마다 무릎 관절에 실리는 무게를 분산시키고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특히 무릎이 약한 사람은 수영 및 수중 걷기 운동이 좋은데 물의 부력이 체중에 받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므로 관절에 무리를 덜어줄 뿐 아니라 부상 위험도 줄일 수 있다.
김원장은 “나이가 들면 점차 하체가 부실해지고 상체비만으로 무릎에 하중이 실리면서 관절에 무리를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데 평소 관절 통증이 있는 등 관절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은 무리하게 108배 동작을 하는 것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며 “기도 전 스트레칭으로 준비운동을 충분히 한 뒤 바닥에 반드시 푹신한 방석을 깔아 무릎충격을 감소시키고 집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거나 찜질을 해주면 무릎관절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