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확충'

서울시가 공보육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해 내년에 국·공립 어린이집을 300곳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11일 서울시는 아이를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 체계를 갖추기 위해 내년에 국·공립 어린이집 300곳을 확충한다. 이를 위해 관련 예산을 올해보다 432억원(45.7%) 많은 1654억원으로 책정했다. 또한, 국·공립 어린이집을 올해부터 2018년까지 4년간 1000곳 추가해 공보육 비율을 3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올해 150곳에 이어 2016년과 2017년 각각 300곳, 2018년 250곳 추가가 목표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어린이집 6787곳 중 국·공립 어린이집은 844곳으로 12.4%에 불과하다. 반면 7월 말 기준 입소 대기자는 12만3000명에 달해 공급이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이에 서울시는 올해 가정형 어린이집 매입과 기부채납에 의한 국·공립 전환 허용 등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면서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지난 3년간 늘어난 서울 국·공립 어린이집은 269곳에 불과하다. 서울시는 "올해의 경우 자치구가 신청한 163곳에 대해 국·공립 신설 내지는 전환 승인을 해 목표를 초과했다"며 "승인 후에 다시 자치구 심의와 시설 개보수 등 절차를 거쳐 개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 "내년에도 국·공립 어린이집이 거의 없거나 수요가 많은 곳 위주로 배치해 지역 균형 발전을 꾀할 방침"이라고 언급했다.

신규 설치와 함께 기존 어린이집을 국·공립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병행해서 민간 부문과 상생도 추진한다. 민간과 연대하거나 교회·학교 등 기존 건물의 빈 공간을 활용하고 도시공원 안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재원 부담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아파트 내 어린이집을 국·공립으로 바꾸면 거주민에게 우선 입소 혜택을 주는 등 적극 권장하며 아울러 시는 어린이집 교사 업무를 도와주는 보조교사를 약 5000곳에 확대 배치할 예정이다. 국·공립과 영아반을 3개 이상 운영하는 가정형 어린이집 등이 대상이며 올해보다 740곳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서울시는 하루 4시간 기준 보조교사 인건비를 지원하며 관련 예산은 약 254억원으로 올해보다 39억원 늘린다.


지난 10일 오전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시청 신청사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2016년도 예산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