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회담’

남북 당국이 오는 26일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당국회담 실무접촉을 열기로 20일 합의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북측이 금일 오전 판문점 채널을 통해 당국회담 실무접촉을 26일 판문점 '통일각'에서 갖자고 제의해왔고 우리 측은 이에 동의한다고 통보했다"고 밝혔다.

8·25 합의 이후 우리 정부의 당국자회담 예비회담 제의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던 북측은 이날 오전 10시쯤 판문점을 통해 실무접촉을 제의하는 통지문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사실은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에서 남측에 통지문을 보냈다고 보도하면서 알려졌다. 정부는 통지문을 받은 후 곧바로 회의를 갖고, 이날 오후 북측에 통일부장관 명의로 실무접촉 제의에 동의한다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실무접촉에 우리 측에서는 남북회담본부장이, 북측에서는 조평통 서기국 부장이 수석대표로 나설 예정이다. 양측은 회담의 형식과 개최 시기, 개최 장소, 이동 방법 등 당국회담 개최에 따르는 실무 문제를 종합적으로 협의할 전망이다.


당국자 회담 장소와 관련, 북측은 최근 평양에 미래과학자거리를 완공하고 고층 아파트를 올리는 등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평양에서 할 것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실무접촉에서 남북이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 관광 재개 등 양측의 주요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가능성도 크다. 그간 우리 정부의 예비접촉 제의에 호응하지 않던 북측이 갑작스럽게 실무접촉을 제의해온 데 대해 대남 관계를 주도적으로 쥐고 가기 위해 적절한 시점을 계산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 제의에 신속히 동의한 것은) 적극적으로 8·25 합의를 이행하겠다는 취지"라며 "실무접촉의 결과는 해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남북회담’ 남북 고위급 접촉이 열린 지난 8월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우리측 대표인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홍용표 통일부 장관과 북측 대표로 황병서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 김양건 노동당 대남비서가 비공개로 회담을 하기 전 악수를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