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사진=머니투데이 DB
뉴욕증시가 나이키와 아베크롬비 등 소비재 업종의 실적 호조로 일제히 상승했다. 다만 국제유가 하락으로 에너지 업종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상승폭을 제한했다.2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7.93포인트(0.38%) 오른 2089.17을 기록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역시 91.06포인트(0.51%) 상승한 1만7823.81로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종합지수는 31.28포인트(0.62%) 오른 5104.92로 마감했다.
이날 S&P500의 소비재업종지수는 1% 넘게 올랐다. IT업종지수(로이터 기준)도 0.8% 상승하며 힘을 보탰다. 반면 에너지업종지수는 1.03% 하락했고 원자재업종지수도 0.6% 떨어지며 악재로 작용했다.
의류업체 아베크롬비는 분기 주당순이익이 37센트로 예상치 22센트를 크게 웃돌면서 24.96% 폭등했다. 매출 역시 기대 이상이었다. 동일점포당 매출은 1% 감소했지만 전문가들의 예상치 2.3% 감소보다는 나은 수준이다.
여기에 나이키도 힘을 보탰다. 나이키는 전날 2대1 주식분할과 120억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등을 발표하면서 5.45% 상승했다. 나이키는 이사회에서 앞으로 4년간 120억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현재 진행 중인 80억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은 내년 회계연도까지 완료키로 했다. 또 2대1 주식분할을 실시하고 배당금을 14% 인상한 32센트(분할 전 기준)를 지급키로 했다.
할인 유통체인인 로스는 분기 주당순이익이 53센트로 예상치를 3센트 웃돌면서 10.04% 올랐다. 매출도 시장 전망을 뛰어넘었고 동일점포당 매출은 3% 늘었다.
풋 로커는 분기 주당순이익이 예상치보다 5센트 많은 1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히면서 5.67% 상승했다. 매출 역시 기대를 웃돌았고 동일점포당 매출도 8.7% 증가하며 예상치(6.2%)를 앞질렀다.
이날 달러는 12월 금리 인상 전망과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추가 양적 완화 발언 영향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이날 뉴욕 외환시장에서 주요국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 인덱스는 전날보다 0.61% 상승한 99.61을 기록했다.
한편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국제 금 가격은 전날보다 온스당 1.6달러(0.1%) 하락한 1076.30달러에 마감했다. 주간 기준으로는 0.4% 떨어지며 5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