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압수수색’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위원장 김동만)은 23일 성명서를 내고 "경찰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압수수색은 폭력진압을 물타기하려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한국노총은 "2013년 철도노조 파업을 중단시키기 위해 폭력적으로 민주노총 건물을 침탈한 데 이어 이번 압수수색까지 박근혜 정부 들어 벌써 (민주노총 관련 압수수색이) 두 번째"라며 "군사정권 시절에 있음직한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경찰은 압수수색 후 이례적으로 해머와 손도끼 등 압수품 일부를 언론에 공개하며 폭력집회의 증거물인 양 호도했다"며 "물품 중 상당수는 집회와 상관없다. 해머 등은 얼음깨기 퍼포먼스 진행시 사용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노총은 이어 "경찰이 이례적 행보로 민주노총을 폭력단체로 매도하는 이유는 지난 14일 민중총궐기에서 일어난 경찰의 폭력진압을 물타기하려는 것"이라며 "정부는 지난 민중총궐기에 왜 그렇게 많은 노동자와 시민들이 모였는지 되새기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앞서 서울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지난 21일 서울 중구 정동 경향신문사 건물의 민주노총 등 8개 단체 12개 사무실에 수사관 370명과 경찰관 기동대 4개 부대 320명 등 690명을 투입해 대거 압수수색을 벌였다. 민주노총은 이에 '극단적 공안탄압'이라며 즉각 반발에 나섰다. 다음은 한국노총의 ‘경찰의 민주노총 압수수색을 규탄한다’ 성명서 전문이다.


경찰의 민주노총 압수수색을 규탄한다

경찰이 지난 주말 폭력집회 증거물을 압수한다는 명목으로 민주노총을 비롯해 금속노조, 공공운수노조 등 산하조직들 까지 압수수색했다. 지난 2013년 철도노조 파업을 중단시키기 위해 폭력적으로 민주노총 건물을 침탈한데 이어 이번 압수수색까지 박근혜대통령 들어서만 벌써 두 번째다. 군사정권시절에나 있음직한 일이 반복돼 일어나고 있다.

경찰은 압수수색 후 이례적으로 해머와 손도끼 등 압수품 일부를 언론에 공개하며 이것이 마치 폭력집회의 증거물인양 호도했다. 그러나 이 물품중 상당수는 집회와 상관없는 것이며 해머 등은 얼음 깨기 퍼포먼스 진행 시 사용했던 것으로 인터넷에 관련 사진 등도 올라와 있다.

경찰이 이런 이례적인 행보를 보이며 민주노총을 폭력단체로 매도하는 이유는 누가 봐도 지난 11월 14일 민중총궐기에서 일어난 경찰의 폭력진압을 물타기 하려는 것이다.

시위대를 넘어뜨리기 위한 식용류 사용과, 살인무기 최류액 살수로 농민 백남기씨는 아직도 중환자실에서 사경을 헤매고 있다.

이후 경찰은 악화된 여론을 무마하기위해 언론을 불러 살수차 시연을 했지만 오히려 거짓시연으로 더 센 비난여론의 도마에 오르게 된다.

이러한 불리한 상황을 모면하기위해 경찰은 민주노총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고 폭력시위에 사용되지도 않은 물품들을 증거물이라 우기는 것은 뻔뻔한 짓이다.

정부는 이번 11월 14일 민중총궐기에 왜 그렇게 많은 노동자와 시민들이 모였는지 되새겨 보기 바란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로 역사를 거꾸로 돌리려 했고, 기간제 기간연장과 파견업종 확대 등 노사정위에서 합의되지도 않은 노동법 개악안으로 전체 노동자를 벼랑 끝으로 내몬 것이 이번 투쟁의 근본 원인이다.

부자를 위한 정부여당의 정책이 폐기되지 않고, 반노동 반농민 정책으로 일관한다면 생존을 위한 노동자 농민의 저항과 투쟁은 계속 이어질 것이다.

2015년 11월 23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민주노총 압수수색’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조합원들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에서 12월 2차 민중총궐기 및 총파업 예고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