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의 농가가 사라지고 그나마 있는 농민은 고령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전남지역은 40대 연령층이 농업을 포기하고 가족과 함께 농촌을 떠난 가운데 고령화로 인해 70대 이상만 늘어났다.
광주·전남지역은 40대 연령층이 농업을 포기하고 가족과 함께 농촌을 떠난 가운데 고령화로 인해 70대 이상만 늘어났다.
27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분석한 ‘2010~2014년 광주·전남 농업형태의 변화'에 따르면 2014년 광주·전남 농가는 17만2000가구로 2010년 18만3000가구보다 6.2%(1만1281가구)감소했다.
이는 전국 평균 4.8%를 웃돈 것으로 광주는 9.3%, 전남은 5.9% 각각 감소했다.
전국 농가 대비 광주·전남 농가 비중은 15.3%로 지난 2010년 대비 0.3%포인트 감소했다.
지난해 농가가 가장 많은 지역은 고흥군(1만2000가구)으로, 2010년(1만4000가구)에 비해 10.8%(1512가구)감소했다.
이어 나주(1만2360가구), 순천(1만2301가구), 여수(1만1263가구), 해남(1만745가구)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0년 대비 농가 감소율이 높은 시·군은 화순(24.1%), 장흥(19.1%), 목포(17.1%), 장성(16.2%)순인 반면 여수(12.9%), 나주(4.8%), 완도(3.7%), 진도(2.5%), 순천(1.8%)은 2010년 대비 증가했다.
2014년 광주지역 농가인구는 3만2000명, 전남은 35만6000명으로 2010년 대비 15.6%(5932명), 10.2%(4만234명) 각각 감소했다.
같은 해 전국 농가인구 대비 광주·전남 농가인구 비중은 14.1%, 2010년(14.2%)과 비교해 0.1%포인트 감소했다.
2014년 농가인구수가 가장 많은 시군은 순천시(3만 2000명)로 2010년(3만명)에 비해 2113명(7.1%) 증가했으며, 나주시, 여수시, 고흥군,해남군, 무안군 순으로 나타났다.
2010년에 비해 농가인구수 감소율이 높은 시·군은 강진(27.7%), 목포(27.1%), 장흥(25.5%), 화순(24.8%) 순인 반면 여수(7.5%), 순천(7.1%), 나주(1.7%) 완도(0.1%)는 증가했다.
가구원수는 2인가구(52.7%)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2010년(8만9000가구)에 비해 1362(1.5%)가구가 증가했으며 1인가구(21.9%), 3인가구(12.6%)순이었다.
지난해 연령별 농가 인구는 2010년에 비해 75~79세(32.4%)와 80세 이사(29.5%), 55~59세(0.5%)에서 증가한 반면 다른 연령층은 모두 감소했다.
감소 순위는 35~39세(37.4%), 0~4세(36.2%), 10~14세(35.3%)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