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군기지’

제주해군기지 건설 공사가 94%가 넘는 공정률을 보이는 가운데, 내년 1월쯤 준공식이 열릴 예정이다. 하지만 기지 건설을 둘러싼 주민 간 갈등 해소와 반대 운동으로 인해 일부 주민들이 떠안게 된 경제적 부담 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해군은 최근까지 함정 계류시험을 마치는 등 공사 마무리에 박차를 가해 12월1일 주둔 부대로 3함대사령부 소속 제주기지전대를 창설한다고 29일 밝혔다. 전대 창설 이후 부대가 안정화되고 전투부대 전개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현재 부산과 진해에 각각 주둔해 있는 71기동전대와 72기동전대가 제주로 옮겨온다. 두 전대는 제7기동전단 소속이다.

그러나 제주도와 정부가 제주해군기지 건설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한 갈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시행하고 있지만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어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제주도는 강정주민 등 사법처리 대상자 특별사면을 모두 6회에 걸쳐 청와대와 행정자치부, 국무총리실 등에 건의했지만 전혀 반영되지 못한 상태다.

제주도는 또 지난해 11월 강정주민들이 반대하는 제주해군기지 군관사 건립사업의 철회를 해군에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여기에 정부도 제주해군기지 주변지역발전계획을 수립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면서 갈등 해소에 나서고 있으나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히면서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내 시민단체 관계자는 이와 관련, “강정마을 공동체가 완전히 붕괴될 지경에 놓인 만큼 조속히 갈등 문제를 해결 대책 마련, 시행이 시급하다”며 “제주도와 정부, 해군이 상시적으로 대화할 수 있는 소통창구 설치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제주 해군기지’ 지난 1월 제주해군기지 군관사 공사장 입구에 설치된 7m 높이의 망루에서 조경철 강정마을회장과 반대단체 활동가 10여명이 고공 농성을 벌이고 있다. /자료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