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의원(서울 노원병)을 중심으로 창당을 준비 중인 국민의당과 천정배 의원(광주 서구을)이 추진 중인 국민회의가 25일 통합에 전격 합의했다. 이에 더민주와 국민의당 양측에서 '러브콜'을 받았던 천 의원이 더민주가 아닌 '안철수 신당'을 최종 선택한 배경에 대해 여러 해석이 일고 있다. 하지만 안 의원 역시 천 의원을 선택, 영입함으로써 최근 지지부진한 국민의당 분위기를 바꾸고자 한다는 의도로도 해석된다.
안 의원이 천 의원과의 통합이 절실했던 이유는 무엇보다 ‘교섭단체 구성’이다. 이날 천 의원과의 통합 전까지 국민의당에 소속된 현역 의원은 15명이었다. 원내 교섭단체를 구성하기 위해선 다음달 15일까지 20명의 현역의원이 필요하다. 당초 당 안팎에서는 빠른 시일 내에 교섭단체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최근 국민의당이 일으킨 여러 논란 등으로 교섭단체 구성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까지 나왔다.
특히 더민주 문재인 대표의 인재영입이 흥행을 이루고 있는 반면, 국민의당의 경우 한상진 창당준비위원장의 ‘이승만 국부’ 발언 논란 등으로 호남지역에서의 지지세가 한풀 꺾이는 등 국민의당에 합류하려는 현역 의원들의 움직임이 급격히 줄었다. 더구나 거취를 고민했던 더민주 박영선 의원(서울 구로을)이 당 잔류를 결정함으로써 더민주의 지지세 결집은 더욱 확고해지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
국민의당으로서는 더민주의 정신적 지주를 담당했던 ‘동교동계의 좌장’ 권노갑 전 상임고문이 더민주를 탈당하고, 박지원 전 원내대표(전남 목포시)까지 탈당해 추가 탈당을 예상해봤을 법하지만, 추가 탈당은 없었다. 오히려 더민주는 지난 24일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 김홍걸 김대중도서관 객원교수를 영입함으로써 호남의 정통 지지기반 세력을 결집시키는 전략을 내놓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국민의당이 다음달 15일까지 신당을 창당하고 원내 교섭단체를 구성하면 오는 20대 총선까지 최대 87억9000만원까지 국고보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교섭단체가 안된다면 그 액수는 30억원 이하로 대폭 줄어든다. 뿐만 아니라 교섭단체 구성시 국회 운영에 있어 쟁점법안 처리 및 선거구 획정 협상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만일 국민의당이 원내 교섭단체를 구성하지 못할 경우 총선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될 점은 분명해진다. 안 의원과 천 의원의 합당으로 이들에게 합류하려는 의원이 생길 지에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다.
'안철수 천정배' 국민의당 창당을 추진 중인 안철수 의원이 25일 오전 서울 마포구 당사에서 열린 확대기조회의를 마친 뒤 '국민회의' 천정배 의원과 통합관련 회동을 하기 위해 국회 의원회관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스1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