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28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징후와 관련해 기습 발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국방부는 또 "북한이 아직 국제기구 등에 항행금지구역을 선포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과거 단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선 항행금지구역을 선포하지 않았던 경우도 있지만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하게 되면 국제적으로 반드시 항행금지구역을 선포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그러면서 "북한이 과거와는 다르게 4차 핵실험은 미국이나 중국 등 주변국가에 알리지 않고 기습적으로 했다"면서 "앞으로도 북한이 중대한 도발 행위를 할 때 기습적으로 할 가능성이 있다"며 장거리 미사일 기습 발사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김 대변인은 '일본이 가진 정보보다 우리가 가진 정보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일본측 정보와 우리측 정보에는)별 차이가 없다고 본다"며 " 다만 그 내용을 공개하느냐, 안 하느냐는 것이다. 일본이 한국과 미국이 갖고 있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갖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는 명백한 유엔 안보리(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자 대한민국과 동북아는 물론 세계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중대한 도발"이라며 "북한이 이런 도발 행위를 해선 안 된다는 게 우리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일본 교도통신은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최근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미사일 발사장에서 발사 준비 움직임이 포착됐으며, 이르면 1주일 내 미사일이 발사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북한 미사일'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자료사진=뉴스1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