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선거연대 가능성에 대해 "현재로서는 무슨 연대니 이런 얘기를 당 차원에서 할 시기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개별 의원의 복당에 대해서도 "내가 통합하자고 얘기했기 때문에 개별적인 복당 인사가 있으리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지금은 가장 높은 수준의 당대당 통합 말고는 고려하지 않고 있음을 분명히 한 셈이다.
이는 무엇보다 4·13총선에서 새누리당과 일대일 구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당대당 통합을 이뤄 단일 후보를 공천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더민주 선거대책위원회 관계자는 "경선 비용과 시간 등 현실적 조건을 감안해도 빨리 통합해 한 선거구에 한 명의 후보를 내는 게 최선"이라며 "어디는 2번, 어디는 3번 하는 식으로 후보가 엇갈리게 나가면 본선에서 힘을 하나로 모으는 선거 캠페인 전략을 짜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각 당 후보가 정해진 다음 연대를 논의할 경우 지분 나누기 등이 논의될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새누리당에 '뻔한 야합'이라는 공격의 빌미를 줄 수 있다. 아울러 가장 높은 단계의 당대 당 통합 추진을 목표로 제시하는 것이 향후 논의 진행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현실적으로 오는 24일부터 중앙선관위원회 후보 등록이 시작되는 일정을 감안하면 늦어도 다음 주 중 통합을 이뤄야 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빠듯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게다가 국민의당 내부 상황이 금방 통합에 대한 공감대를 끌어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결국 한 단계 낮은 수준의 후보단일화를 위한 선거연대가 논의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는 것도 이런 현실 때문이다.
지역구 단위의 선거연대 추진과 함께 탈당파의 개별 복당 방안도 거론된다. 실제 일부 지역구에서는 벌써 이런 움직임이 가시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민주는 탈당 의원이나 원외 후보 중 복당을 희망할 경우 탈당 1년 이내 복당이 불가하다는 규정을 바꾸거나 비대위의 의결을 통해서라도 예외적으로 복당을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사진=뉴스1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