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는 이날 비대위 회의 등에 불참하며 사실상 '당무 거부'를 선언했다. 그간 김 대표의 '우클릭 행보'를 '중도층 외연 넓히기' 등으로 해석해 비판을 자제해왔던 당내 인사들도 김 대표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김 대표는 자신이 주도적으로 결정해 전날(20일) 중앙위원회에 올린 비례대표 명단을 확정하지 않을 경우, 선거를 책임지지 않겠다는 입장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더민주 내 강경파 인사들은 시민사회 단체 인사 등을 사실상 완전 배제하고 도덕성·정체성 면에서 문제가 있는 인사들을 대거 등용하려는 김 대표의 결정을 두고 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김 대표와 당내 인사들 간 갈등이 불거지는 양상이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8시50분쯤 구기동 자택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자신을 '비례대표 2번'으로 지정한 것을 바꿀 용의가 없는지에 대해 "그것에 대해 묻지 말라. 난 더 이상 할 말이 없다"고 일축했다.
당내에선 반발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김광진·정청래 의원이 전날(20일) 비판의 목소리를 낸 데 이어 중진인 박병석·원혜영·유인태·이석현·정세균·추미애 의원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김 대표를 압박했다. 이들은 "여러 논란으로 총선승리에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 분명한 후보자들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또 당헌에서 명시하고 있는 대로 소수계층과 약자를 배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21일 오전 서울 구기동 자택을 나서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1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