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쩍 다가온 봄날의 따뜻해진 날씨로 주말이면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 하지만 아직 아침, 저녁으로 일교차가 커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각종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가운데 환절기에 눈에 나타날 수 있는 질환과 이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건조한 봄 바람과 미세먼지로 인한 ‘안구건조증’, 각종 안질환의 시작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04년 97만명이었던 국내 안구건조증 환자 수가 2014년 214만명으로 10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과도하게 증발돼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의 자극감, 이물감, 건조감 등의 증상을 느끼는 질환으로, 공기 중의 유해물질로 인해 쉽게 발병한다. 안구건조증이 심해지면 눈을 제대로 뜨기 어렵고 전신 피로, 두통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이는 결막염이나 각막염 등의 안질환으로 악화되기도 해 초기 예방이 중요하다.
◆환절기 대표 안질환 ‘알레르기성 결막염’, 안구건조증과 구분해야…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환절기 대표적인 안질환으로 안구건조증과 같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먼지나 꽃가루 등 이물질에 의해 발생한다. 알레르기 결막염이 발생하면 눈과 눈꺼풀의 가려움증, 결막의 충혈, 눈의 화끈거림을 동반한 통증이 나타난다. 눈부심, 눈물 흘림과 같은 증상을 호소하며 심할 경우 결막이나 눈꺼풀이 부풀어 오르는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이러한 결막염 증상을 안구건조증과 혼동해 지나치는 경우가 있지만, 결막염은 안구건조증과 달리 결막의 혈관이 확장되면서 충혈 증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충혈과 함께 심한 가려움이 느껴진다면 알레르기 결막염으로 판단, 빠른 시일 내에 안과에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