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증권 보고서 표지.

SK그룹의 계열사인 SK증권이 같은 계열사인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M&A)과 관련해 KT·LG유플러스 측의 합병 반대 논리와 유사한 취지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SK증권은 지난 1일 정부의 결정만 남은 ‘CJ헬로비전-SK브로드밴드’ M&A 승인을 전제로 작성한 ‘무엇이 좋아지는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유료방송 점유율 제한에 따른 가입자모집 경쟁이 완화되고 결합상품을 통한 아날로그 가입자의 디지털 전환으로 TV ARPU(가입자당 평균 매출) 상승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선 SK증권은 경쟁 완화와 관련해서 현행 방송법에서 한 사업자의 유료방송시장 점유율이 33.3%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합병법인의 점유율이 26.5%로 KT그룹의 30.0%와 비슷하게 상한선에 가까워져 경쟁할 여지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경쟁이 줄어들면 기업의 서비스 질 개선이나 가격 인하와 같은 소비자를 위한 조치가 감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SK증권은 합병법인이 시장 경쟁 완화 분위기 속에서 아날로그 케이블TV 가입자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데 집중하면서 마케팅 비용을 아끼고 ARPU를 높일 것으로 전망했다. SK증권은 “이동통신과 TV, 초고속인터넷을 결합할 경우 TV 부분 ARPU 상승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ARPU 상승이 소비자에게 요금 부담을 더할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다만 SK증권 관계자는 “ARPU 상승은 단순히 요금이 인상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아날로그 가입자들이 고품질 디지털서비스로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이동통신과 케이블 상품과의 유무선 결합상품 할인 효과로 인해 아날로그 방송을 디지털로 전환한다고 하더라도 이동통신이 포함된 전체 가계통신비는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SK증권의 이런 분석은 그간 SK텔레콤이 내세운 M&A의 명분과 거리가 있다. 오히려 사활을 걸고 M&A를 반대하고 있는 KT·LG유플러스의 주장과 유사하다. 실제로 SK텔레콤은 “CJ헬로비전 M&A는 KT가 독주하던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을 활성화해 사업자간 경쟁을 촉진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KT·LG유플러스는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의 케이블TV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무선 결합상품 판매를 통해 가입자를 확대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요금 인상 가능성도 높다”고 주장했다. 


SK텔레콤이 사활을 걸고 있는 사안에 계열사가 엇박자를 낸 셈이다. 이에 대해 SK증권 관계자는 “해당 보고서는 증권회사 애널리스트가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작성한 것으로 사전에 SK그룹과 커뮤니케이션을 한다는 것은 자본시장통합법에 위배된다”며 “따라서 일각에서 강조하는 그룹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부재라는 표현은 적절치 않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