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확충을 위한 재원조달 방식으로 '다른분야 지출삭감'을 꼽는 사람이 10명 중 8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29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해 10월29일부터 12월10일까지 전국 19~70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국가재정운용에 관한 대국민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복지지출 재원조달 선호 방식으로 '다른분야 지출삭감'이라고 답한 비율이 80.6%로 가장 높았다. 이어 ▲'국채 발행' 9.9% ▲'세금 인상' 9.5%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세금·보험료 등 복지증대를 위한 '개인 부담'이 증가한다면 복지 지출 증가에 '반대'하는 입장이 69.3%로 복지확대에 유보적 태도를 보인 사람들이 많았다. 세부 항목으로 ▲'매우반대' 20.2% ▲'약간반대' 49.1% ▲'약간동의' 27.3% ▲'매우동의' 3.4% 등의 비율을 보였다.

한편 재정지출 구조조정이 필요한 분야로는 '문화·체육'을 꼽은 사람이 24.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복지' 13.9% ▲'국방외교' 13.8% ▲'SOC(사회간접자본)' 13.1% 등의 순이었다.

/그래픽=김민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