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에서 새누리당이 122석 확보에 그쳐 참패하면서 김무성 대표가 14일 대표직에서 사퇴한 가운데 총선 패배 책임론을 놓고 친박(친 박근혜)대 비박(비 박근혜) 간 갈등이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당초 4·13총선 목표 의석수를 180석으로 정했으나 총선에 가까워질수록 목표치를 140석까지 줄였다. 앞서 새누리당은 최대치 목표를 180석 달성으로 잡고 박근혜정부 후반기에 국정운영 동력을 끌어올릴 계획이었다. 친박계의 '비박(비 박근혜) 학살' 공천, 김무성 대표의 ‘옥새 투쟁’ 등을 거치며 목표치를 낮췄지만, 내부적으론 과반은 차지할 것이라는 시선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번 선거 개표결과 야권이 분열된 '일여다야' 구도 아래 '낙동강 벨트' 'TK(대구·경북)'지역에 의석을 내주는 등 새누리당이 참패해 총선 결과를 놓고 책임론 공방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김무성 대표는 14일 "선거 참패의 모든 책임을 지고 오늘로 당대표직에서 물러난다"며 대표직에서 사퇴했다. 김 대표는 "공천과정에서 오만한 부끄러운 모습을 보였고 당력 결집을 못하고 국민을 실망시켰다"며 "정치는 국민만 바라보고 국민만 두려워해야하는 사실을 잊어서 벌어진 일"이라고 자평했다.

특히 친박계의 '막장 공천'으로 탈당한 유승민(대구 동을), 주호영(대구 수성을) 후보 등이 당선됨에 따라 친박계의 책임론이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친박계에선 비박계 김무성 대표의 ‘전략공천’에 책임론을 덮어씌우려 하는 분석도 제기된다. 김 대표가 ‘상향식 공천’ 원칙을 고수해 전략적으로 공천을 못했다는 논리다. 이밖에도 정계 안팎에선 비박계 무소속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를 두고도 친박 대 비박계 의원들 간 격돌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오른쪽)와 원유철 원내대표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해단식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