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소비트랜드로 가성비 추구 소비가 중시되고 있고 이러한 현상은 경제여건상 지속될 것이라는 판단에 가격대가 높은 프리미엄 김밥시장에 진입하기가 꺼려졌다.
가성비는 가격대비 효과이며 가성비가 높다는 것은 가격대에 비해 높은 만족을 얻는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가성비를 높이려면 첫째, 품질은 유지하고 가격을 낮추거나 둘째, 가격에 비해 높은 만족을 줘야 한다
2016년 소비의 화두로 가성비가 대두되면서 외식 시장에서도 가성비를 높인 프랜차이즈들이 속속 등장했다. 특히 1,000원 커피전문점, 1,500원 주스전문점 등과 같이 파격적인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이 크게 증가했다.
가성비는 가격대비 효과이며 가성비가 높다는 것은 가격대에 비해 높은 만족을 얻는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가성비를 높이려면 첫째, 품질은 유지하고 가격을 낮추거나 둘째, 가격에 비해 높은 만족을 줘야 한다
2016년 소비의 화두로 가성비가 대두되면서 외식 시장에서도 가성비를 높인 프랜차이즈들이 속속 등장했다. 특히 1,000원 커피전문점, 1,500원 주스전문점 등과 같이 파격적인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이 크게 증가했다.
파격적인 가격을 통해 가성비를 높힌 외식 프랜차이즈들은 식자재 상승, 임대료 상승, 인건비 상승 등 작은 수익변화에도 크게 민감할 수밖에 없다.
또한 기본적인 수익구조가 박리다매인 데에 반해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경쟁사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 높은 매출을 유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가맹본사와 가맹점들이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없게 하고 결국 고객이 외면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시작부터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장할 수 없는 구조인 것이다.
얌샘김밥 안산점을 운영하고 있는 강선인씨는 철저한 창업을 준비해왔다.
높은 만족을 주면서 가성비도 높이는 방법은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투자대비 효과를 극대화한 브랜드를 찾은 것이다.
얌샘은 본사가 생산, R&D, 물류, 운영 등에 보유한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안정적이며 장기적으로 지속성장이 가능한 모델이다.
이러한 기술은 단시간에 보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 진입장벽을 높혀 경쟁사에게 고객을 빼앗길 일도 적어진다.
강선인씨는 이러한 현실을 파악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브랜드를 찾는데 집중했다.
마침 호남지역에서 매장 3곳을 운영하고 있는 친척에게 조언을 구하러 갔다가 '얌샘김밥'으로의 창업을 결심했다. 얌샘김밥은 2001년 창업해 16년간 종합분식브랜드로 성장해온 ㈜얌샘의 브랜드이고 강선인 씨의 친척은 '얌샘김밥'의 전신인 <얌샘>매장을 세 곳에 운영 중이다.
김선인 점주는 16년간의 축적된 얌샘의 운영노하우를 가장 큰 경쟁력으로 뽑았다.
김선인 점주는 16년간의 축적된 얌샘의 운영노하우를 가장 큰 경쟁력으로 뽑았다.
얌샘김밥은 프리미엄 김밥과 함께 다양한 식사메뉴들을 곁들임으로서 타 분식 브랜드에 비해 높은 객단가를 가지고 있고 고객들의 재방문도 많은 구조로, 기존에 보아온 김밥전문 프리미엄 김밥 브랜드에 비해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강씨는 "브랜드 선택 시 본사의 업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는데 경쟁이 치열하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외식산업에서 자체 생산물류센터를 보유하고 기업부설연구소를 운영하면서 15년 이상 기업을 유지하는 것 만으로도 안정성을 보장해주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단순히 유행만을 반영해 순간 반짝하는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의 홍수 속에서 크게 튀지는 않지만 오랜 기간 가맹점주의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해주는 본사를 찾는 것 역시 중요한 신규창업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