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6일 "기업구조조정은 해당기업과 산업의 상황에 따라 3가지 트랙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금융위원회 5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협의체'에서 "정부와 채권단은 '사즉생'의 각오로 기업구조조정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임 위원장은 "제1트랙은 조선·해운 등 경기민감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이라며 "정부 내 협의체를 통해 구조조정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기초로 채권단이 개별기업의 구조조정을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제2트랙은 상시적 구조조정으로 기업구조조정촉진에 따라 주채무계열 및 개별기업에 대해 채권단의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정상화 또는 신속한 정리를 추진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3트랙에 대해 임 위원장은 "공급과잉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으로 기업활력제고법에 따라 개별기업 또는 해당산업이 자발적으로 인수합병(M&A), 설비감축 등 구조조정 계획을 수립하면 이를 정부가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 위원장은 정부는 대내외 여건상 기업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유례없는 유가의 급락, 세계 교역량 감소뿐만 아니라 일부 업종의 공급과잉 현상으로 인해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산업구조가 변화하고 있다"며 "세계 각국은 구조조정을 통해 취약산업의 구조조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제적인 대응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조선, 해운, 철강, 석유화학 등 전통 주력산업의 경영여건이 구조적으로 악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당분간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우리는 적극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새로운 산업구조로 변화시켜야 하는 절대절명의 과제를 안고 있으며 이는 미래 한국경제의 명운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차 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