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박4일 일정으로 이란을 국빈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이 오늘(2일) 오전(현지시간) 사드아바드 좀후리궁 앞 광장에서 열린 공식환영식에 참석해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의장대 사열을 마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북한의 5차 핵실험 가능성으로 인한 긴장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의 이란 방문이 북핵 문제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이란은 북한과 오랜 기간 군사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핵 개발을 추진하려다 서방과의 협상을 통해 국제사회와 공존의 길을 택한 바 있다. 이란의 선례가 북한에 교훈이 될 수 있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박 대통령도 지난 1일(현지시간) 국영 '이란 데일리'와 서면 인터뷰에서 이란 핵 협상이 북핵 문제에 주는 의미를 강조하면서 북핵 해결을 위한 이란의 협조에 기대감을 표명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이 인터뷰에서 "북핵은 이란과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며 '이란식 모델'의 한계를 함께 지적했다. 북한의 경우 이란과 달리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 탈퇴했고, 수차례 핵실험을 실시했으며 핵보유를 헌법에 명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추가 핵실험은 물론 핵사용 위협까지 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북한의 전략적 셈법을 변화시키지 않고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북한이 핵개발이 아닌 국제사회와의 협력만이 자신들이 원하는 안정과 번영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하루속히 깨닫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오늘(2일) 하산 로하니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이어 이란의 절대권력자인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와 면담할 예정이다. 신정 일치 국가인 이란에서 하메네이는 대통령을 넘어서는 최고 통치권자로 이란의 대외정책 기조를 직접 관장한다.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로하니 대통령과 정상회담 등에서 ‘북한·이란 핵미사일 커넥션'의 차단을 위해 담판을 벌일 가능성도 제기됐으나 이란과 북한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이란에 직접적인 입장을 요구할 확률은 매우 낮아 보인다.
다만 이란과 북한이 오랜 기간 군사 분야에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정상이 이란 최고지도자와 대통령을 잇따라 만나 북핵 문제를 논의한 것 자체가 북한에 있어서는 상당한 압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