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물재생센터가 에너지자립률 50%를 넘겼다. 서울시 물재생센터 위치. /자료=서울시 홈페이지 캡처
서울시 물재생센터가 전국 최초로 에너지자립률 50%를 넘겼다. 서울시는 오늘(3일) 중랑 등 4개 물재생센터가 에너지 사용량 가운데 51.6%를 재생센터 내에서 자급한다고 밝혔다. 환경부가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에서 목표로 정한 2030년보다 15년이나 앞당겼다.
지난해 중랑과 난지, 탄천, 서남 4개 물재생센터는 연간 약 12만7000TOE(석유환산톤) 가운데 약 6만5700TOE가량을 자체 생산했다.
서울시는 하수찌꺼기 소화공정을 거치면서 생성된 바이오(소화)가스를 열병합발전사업 등에 활용했다. 하수 처리 후 배출되는 약 11~27℃의 방류수에서 하수열을 회수해 지역난방에 공급하는 등 미활용 에너지도 발굴해 활용했다.
또 비용을 지불하고 매립하던 하수찌꺼기를 건조재로 가공해 화력발전소 연료와 시멘트 원료로 판매해 수익도 냈다. 그 결과 서울시는 지난해 354억원 정도의 비용 절감효과를 얻고 온실가스도 연간 3만5000톤 정도 줄였다고 밝혔다.
이철해 서울시 물재생시설과장은 에너지자립률을 더 높이기 위해 하수처리장 에너지 종합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겠다며 "슬러지 건조시설을 2018년까지 확대 설치하고 소수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송풍기 성능 개선, 자동화사업 등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