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을 국빈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테헤란 사드아바드 좀후리궁에서 하산 로하니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앞서 사전환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란을 방문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회담에선 한반도 비핵화, 평화 문제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오후 테헤란 사드아바드 좀후리궁에서 로하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었다. 1962년 양국 수교 이래 첫 정상회담이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한의 핵 개발은 우리 민족의 생존에 대한 위협"이라며 동북아의 안정과 세계 평화에 심각한 위협으로 결코 용납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최근 이란이 북한대사를 불러 핵무기에 대한 반대 원칙을 전달한 데 대해 감사를 표시했다.

로하니 대통령도 "양국간 전략적인 경제협력 관계 발전을 위해서는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안정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이 문제에 관심이 많다"며 "이란은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 어떠한 핵 활동도 반대한다는 입장 하에 중동지역은 물론 한반도에서도 핵을 없애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고 밝혔다.


이란은 북한과 긴밀한 군사협력 관계를 맺어왔다.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북한이 이란에 군사지원을 한 적도 있다. 따라서 이란이 공개적으로 한반도 핵개발 반대 메시지를 낸 것은 의미있는 행동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란이 핵개발에 분명한 반대 입장을 밝힌 것도 북한에 상당한 압박이 되리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도 "이란 측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통일 원칙에 대해 공감했는데 북한과 전통적 우호 관계를 맺어온 이란이 이러한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한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회담 뒤 이어진 공동기자회견에서도 다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통일 메시지가 언급됐다. 로하니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원한다"며 "원칙적으로 우리는 대량살상 무기 생산을 반대한다. 우리는 한반도가 이런 대량살상무기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도 "저는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의 항구적 평화와 안정을 위한 열쇠는 평화통일에 있음을 강조했다"며 "이란 측은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한국 국민의 열망에 대해 지지를 표명해 줬다"고 말했다.

양국 정상은 회담 결과물인 공동성명에서 "핵무기 개발은 절대 안보를 강화할 수 없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면서 한반도 평화와 안정 유지를 강조하고 이러한 측면에서 이란은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에 대한 한국민의 열망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또 "양측은 '핵무기 없는 세상' 목표에 대한 지지하에 핵확산금지조약(NPT) 및 비핵화 공약을 재확인하고 이러한 목적을 지향하는 노력들을 지지한다"고 명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