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창원. 지난달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20대 국회의원 당선자대회에서 표창원 당선인(맨 왼쪽)이 인사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더불어민주당 표창원 당선인이 박근혜 대통령의 언어 트라우마에 대한 해석을 내놨다.
표창원 당선인은 지난 4일 한 종합편성채널에 출연해 정치인이 아닌 프로파일러로서 박근혜 대통령의 언어 습관을 분석하면서 '트라우마'를 거론했다.
표 당선인은 이날 방송에서 "사실 박근혜 대통령은 원래 정치를 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부모의 불행을 본인도 겪고 싶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라며 "그런데 '국민을 도와줘야지'라는 생각으로 본인이 자꾸 정치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면서 선거의 여왕이 됐고 (이것이) 언어적 습관에도 영향을 끼쳤다"고 말했다.
표 당선인은 이어 "박근혜 대통령이 평상시 사용하는 용어·어투는 기자회견 때와 차이가 있다"며 "평상시 편한 자리에서도 중언부언한다면 정말 말을 잘 못하는 사람이겠지만, 긴장된 상황에서만 그런 어투가 나온다는 건 하나라도 실수하면 안 된다는 강박관념이 작용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표 당선인은 "(박 대통령이) 자신을 통제하려는 의지가 강하다보니 의식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언어로 연결되지 않는 것"이라며 "통치자로서 가지는 스트레스의 영향이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