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절벽에 시름하는 국내 조선사들이 자구책의 일환으로 플로팅도크 매각을 검토 중이다. /사진=뉴시스 DB
심각한 수주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국내 조선사들이 플로팅도크 매각을 생산설비 감축의 첫 단추로 계획 중이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수주절벽 장기화 시 플로링도크를 우선 매각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다.
이들이 산업은행에 제출했거나 제출 예정인 자구안에도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조선사들은 배를 만들 때 ‘도크’라는 이름의 선박 건조대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도크는 육상, 해상 등 작업 공간에 따라 ‘드라이도크’와 ‘플로팅도크’로 나뉜다. 특히 매각을 검토 중인 플로팅도크는 해상에서 선박을 건조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바지선 형태의 대형 구조물이다.
드라이도크는 설비 해체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지만 플로팅도크는 그 자체로 매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부지
가 좁아 육상 도크를 늘리지 못하는 조선사들은 플로팅도크 확보가 필수다.
현재 삼성중공업은 3개의 드라이도크와 5개의 플로링도크를 갖고 있으며, 대우조선은 2개의 드라이도크와 4개의 플로팅도크를 보유 중이다.
앞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플로팅도크를 매각한 경우는 국내에도 여러 사례가 있다. STX중공업은 지난해 말 대형 선박 제작에 사용된던 플로팅도크를 터키의 한 수리조선소에 약 300억원에 매각한 바 있다. 또 SPP조선도 최근 통영조선소에 보유 중이던 플로팅도크를 국내 다른 조선사에 팔았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