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올해는 제품 다양화로 시장 규모가 더욱 확대돼 2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성장하고 있는 HMR 제품의 구입 목적과 용도, 소비자들의 선택기준은 무엇일까. 풀무원 식품은 소비자 패널 450명을 대상으로 ‘간편가정식(HMR)’ 구매관련 소비자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HMR 제품의 구매 목적으로 ‘한끼 식사를 대체하는 주식’이라는 답변이 68%, 구매 이유로는 ‘매번 새로운 요리를 하기 부담스럽다’는 답변이 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HMR 제품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는 ‘식품첨가물과 나트륨 함량이 높아서’가 58%에 달했으며, HMR 제품 선택시 고려 요인 역시 ‘브랜드’(38%)를 이어 ‘원재료’(23%), ‘식품첨가물과 나트륨 함량’(2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응답자450명 중 50%는 주 1회이상으로 HMR 식품을 자주 구매하는 소비자였으며, 가끔 구매(월 1회)하는 소비자는 34%, 드물게 구매(2~3개월 1회)하는 소비자는 9%였다.
가장 먼저 HMR제품의 구매 목적으로는 응답자의68%가 ‘한끼 식사를 대체하는 주식’이라고 응답했다. 뒤를 이어 ‘주식과 함께 먹는 부식’(21%), ‘끼니를 보충하기 위한 간식’(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HMR 제품 구매 이유로는 ‘매번 새로운 메뉴로 반찬을 만들기 부담스러워서’라는 답변이 39%로 가장 많았으며, ‘바쁜 일상으로 요리할 시간이 없어서’(32%), ‘요리를 못해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어서’(16%)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HMR 제품을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한 소비자가 7%에 달했다. HMR 제품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설문에 응한 소비자들 중 ‘식품첨가물과 나트륨 함량이 걱정되서’라는 답변을 한 소비자가 58%에 달했으며, ‘원재료를 믿을 수 없다’는 답변도 13%로 나타났다.
HMR 제품 구매시 무엇을 보고 구매하냐는 질문의 답변 역시 ‘브랜드’(38%)를 제외하고는 ‘원재료’(23%)와 ‘식품첨가물 및 나트륨 함량’(1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 풀무원식품 구현정 PM(Product Manager)은 “최근 HMR제품은 단순히 ‘빠르고 편리한 인스턴트 식품’ 이미지를 탈피하고, ‘간편하고 다양한 메뉴의 제대로 된 한끼’로 소비자에게 인식되고 있다” 며 ”이에 식품업계에서도 원재료를 고급화하고, 나트륨 함량을 낮추는 등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건강 간편식’ 제품을 출시하여 소비자들의 한끼 식사를 대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한편, HMR 식품으로 프랜차이즈 브랜드인 '진이찬방'은 반찬가게 150여종의 아이템으로 소비자들이 만나고 있다. 전국에 60여 가맹점이 성업중에 있으며, 인천본사 사업설명회를 통해 꾸준하게 창업자를 모집하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