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업계가 정부의 구조조정 정책으로 스스로 몸집 줄이기에 나설 전망이다. 조선이나 해운에 비하면 나은 편이지만 일부 기업의 부채비중이 과도하고 공급과잉이 심각한 상황이다.
건설업계는 2000년대 후반 불황을 겪으면서 사실상 한차례 구조조정을 거친 바 있다. 지난해 대출규제 완화로 분양실적이 한층 나아졌지만 국내 주택경기가 살아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해외 건설시장도 저가 수주와 발주량 감소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중동에서 진행된 사업 발주가 잇따라 연기되며 국내 건설사들의 플랜트 수주액은 264억9000만달러에 그쳤다. 이는 2014년 플랜트 수주액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당분간 국내와 해외 건설의 불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건설업계는 자체적인 구조조정이 시급하다.

정부도 국내 대형건설사들의 영업이익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국토교통부는 대형건설사들이 사업계획과 자금조달, 시공, 관리까지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