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빈 어메이징파크 관장은 “예전부터 우리나라 공학도 육성을 위해 미력하나마 보탬이 되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다”며 “어메이징파크는 그런 면에서 어린이들에게 친숙한 과학과 공학의 접근을 유도하고 새로운 꿈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 회장은 “우리나라 공학의 미래는 공학도 육성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지금의 어린이들이 과학과 기계공학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해 주고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아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할 것인데 여기에 놀이를 통한 흥미요소를 도입하면 관심이 더욱 커진다”며 “공학도를 꿈꾸는 아이들이 많아지면 국가 경쟁력 강화는 물론 관련 산업의 발전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공학도에게 비전 주기 위한 테마파크
장 회장의 공학도 육성 사랑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그는 왜 과학과 기계공학에 대한 관심과 함께 아이들의 이 분야 흥미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일까. 장 회장은 자라나는 꿈나무들과 국내 공학도들에게 비전을 주기 위해서라고 분명하게 밝혔다.
그는 “우연한 기회에 세미나 참석을 위해 독일에 간 적이 있는데 그곳에서 기계공학의 위대함을 알게 됐다”며 “우리나라 공학도들에게 새로운 꿈을 심어주고 싶었다. 또 공학도의 꿈을 키우는 어린이들도 많아지길 바라는 마음도 크다”고 말했다.
장 회장은 “정부도 최근 대학 구조조정과 동시에 프라임사업 등을 병행하는데 공학도 육성과 무관치 않다”며 “현재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차원으로 진행하지만 국내 공학도의 육성을 위해서도 불가결한 것이다. 공학도 육성 없이 경제대국을 이뤄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장 회장은 또 “미래 공학도를 많이 육성하는 것도 중요한데 우리나라 대학은 그 동안 이 분야 인재 육성을 위한 관련 학과 개설이나 교육시스템 등에서 부족했던 면도 있다”며 “정부가 대폭적인 개혁의 의지를 많이 강조하고 이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주장했다.
그는 “어린이들에게 과학과 기계공학을 친숙하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흥미 위주로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고 2년6개월의 공사기간을 거쳐 지금의 모습이 탄생했다”며 “내가 죽기 전에 할 수 있는 것이 어메이징파크로 사회에 공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공학도를 꿈꾸는 아이들이 많아져 우리나라 미래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테마파크로 자리매김 한다면 개인적으로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