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인 국토부 장관. /사진=뉴시스 DB
국토교통부는 정부3.0정책의 일환으로 지난해 건축데이터 민간개방에 이어 국민이 원하는 다채롭고 고도화된 건축통계(건축·주택 인허가 및 건축물현황)를 7월부터 제공한다고 15일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해 2월1일 정부기관 최초로 2억8000건의 건축물 정보 전면개방에 이어 11월에는 건축물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6종 59개의 정보프로그램 ‘Open API’ 서비스도 실시했다.

지금까지 건축통계는 국토교통통계누리와 통계청을 통해 건축·주택 인허가 및 건축물통계로 제공했지만 통계청이 승인한 통계에 한해 일반에 제공되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민간이 필요로 하는 학술 연구 및 사업 타당성 분석 등 기존에 없던 고도화되고 다양한 맞춤형 건축통계를 제공함으로써 대국민 건축서비스가 한 차원 높아질 것을 기대된다.

맞춤형 건축통계는 기존 통계청이나 국토교통통계누리가 제공하는 통계보다 국민이 요구하는 대로 훨씬 세분화돼 제공된다.

예를 들면 기존 서울시 공동주택 현황 통계가 총 주택 수 수준으로 제공되던 것이 앞으로는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 1~7동의 공동주택(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30년 이상, 대지 면적이 1000㎡ 이상 등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세분화돼 제공된다.


국토부는 국가가 건축통계를 직접 제공해 신뢰성을 보장하면서 건축정보 활용범위를 다양화함으로써 공공정책 수립 및 민간의 경제활동, 학술활동 등에 보다 정확한 판단근거를 제공하고 이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