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변액보험이 초저금리 시대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1%대의 초저금리 시대가 현실화되면서 마땅한 수익처를 찾지 못한 사람들이 변액보험으로 다시 눈길을 돌리는 것.
하지만 저금리만큼 국내증시도 가라앉는 모양새다. 그렇다면 지금과 같은 증시 하락기에 변액보험을 어떻게 관리하는 게 좋을까.

◆채권형펀드로 갈아탈 때


가장 먼저 자신의 변액보험에 담긴 펀드상품은 무엇인지, 수익률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변액보험 안에는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차이나형 등 수십종의 펀드가 담겨 있다. 이에 따른 수익률은 보험사 홈페이지나 콜센터에서 알아볼 수 있다.

수익률이 좋지 않다면 펀드변경기능을 활용하는 게 좋다. 앞으로 국내 증시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 현재 시점을 저가 매수 적기로 삼아 주식형펀드를 선택하고 반대로 국내 경기가 불투명하다고 판단되면 채권형펀드로 갈아타 수익률 하락을 막는 식이다. 지금처럼 주식시장이 불안장세를 보이는 때에는 상대적으로 안정적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채권형펀드로 갈아탈 것을 추천한다.  

또 자신의 변액보험 글로벌펀드 라인업을 살펴보고 여기에 운용되는 자산이 거의 없다면 글로벌자산에 분산투자해 투자위험을 낮추는 것도 좋은 방편이다.


변액보험은 회사나 상품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1년에 12회까지 펀드를 바꿀 수 있다. 펀드를 변경할 경우 연 4회까지 수수료가 면제된다. 펀드변경을 통해 주가하락에 따른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동일한 보험료를 내고도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 다만 너무 잦은 펀드변경은 오히려 불리할 수 있다. 주가는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커 시세를 정확히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사업비 부담이 적은 보험료 추가납입 기능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예컨대 30만원을 매월 투자할 경우 10만원만 보험료로 넣고 20만원은 추가납입을 활용하는 식이다. 이렇게 하면 실제로 부담해야 하는 수수료를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액보험에 가입할 생각이라면 보험사의 가중평균 수익률을 비교해보자. 가중평균 수익률은 보험사의 변액보험 전체펀드 수익률을 한눈에 보여주는 수치로 생명보험협회 홈페이지에 공시된다. 펀드관리에 자신이 없다면 지속적으로 중간관리를 해주는 보험사 상품이나 모델 포트폴리오에 따라 자산군별로 자동으로 펀드가 변경되는 상품을 선택할 것을 권한다.

◆23일부터 변액보험 예금자보호 받아

한편 오는 23일부터 변액보험도 보험사가 계약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최저 보장 보험금’에 한해 예금자보호가 적용된다.

그동안 변액보험은 보험료 일부를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고서 실적에 따라 나중에 받는 보험금 액수가 달라지는 상품이라 예금자 보호 대상에서 제외됐다. 그런데 앞으로 변액보험도 실적과 관계없이 일반 보험과 같은 수준으로 예금자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된 것.

다만 변액보험도 예금자보호를 받게 됨에 따라 보험사가 예금보험공사에 추가적인 예금보험료를 내야 해 이는 조만간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