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뉴스1DB
정부의 '맞춤형 보육' 시행에 반발해 민간 어린이집들에 이어 사립유치원들도 재정지원 확대를 요구, 오는 30일 집단 휴원을 예고했다.26일 교육부와 한국유치원총연합회 등에 따르면 사립 유치원 3500여곳은 오는 30일 집단 휴원을 하고 서울광장에 모여 '유아교육 평등권 확보를 위한 전국 학부모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번에 집단 휴원하는 사립 유치원은 전국 사립유치원 4200여곳의 83.3%에 해당하는 규모다.
앞서 사립유치원은 교육부를 상대로 재정지원 확대를 지속적으로 요구했다. 사립유치원들은 정부의 '맞춤형 보육'이 시작되면 민간 어린이집과 마찬가지로 수입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5월에는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건물 앞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유아교육법 시행령 개정'을 촉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와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집단 휴원 카드를 꺼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교육부가 국·공립유치원 원아 1명을 위해 매달 지원하는 금액은 98만원으로 사립유치원 지원액 평균 31만원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많다.
정부 지원금액 규모는 학부모 부담과 직결될 수밖에 없다. 국·공립유치원에 자녀를 보내는 가정은 학부모 부담이 월 1만원 정도지만 사립유치원 학부모는 1인당 월 22만원 가량의 비용을 내야 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사립유치원에 재정 지원을 늘려 학부모 부담을 덜어야 한다는데는 공감한다”면서 “하지만 집단 휴원은 명백한 불법”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진엽 복지부 장관도 민간 어린이집이 부분 휴원에 돌입한 지난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긴급브리핑을 열고 “정부는 부모와 영유아 보육을 외면한 어린이집의 불법적인 행위에 엄정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